저축은행별 회수율은 보해저축은행이 11.8%로 가장 낮음... 미회수 금액별로는 부산저축은행(2조 5,333억 원)이 가장 많아
이영 의원 "예보는 회수율 제고 방안 적극 강구해야"
예금보험공사가 파산한 저축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28조 원 중 회수한 자금은 약 13조 원으로, 투입자금의 절반도 회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민의힘 이영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제출받은 ‘파산저축은행별 자금지원 및 회수현황’에 따르면, 예보가 지난 2011년부터 파산한 저축은행 32곳에 투입한 금액은 28조 4,695억 원이며, 이중 올해 8월까지 회수한 자금은 13조 3,326억 원에 불과했다.
저축은행별 회수율은 보해저축은행이 11.8%로 가장 낮았고, 한주저축은행(18.1%), 부산2저축은행(19%) 순으로 낮았다. 미회수 금액별로는 부산저축은행(2조 5,333억 원)이 가장 많았고, 토마토저축은행(2조 1,133억 원), 제일저축은행(1조 7,953억 원)이 뒤를 이었다.
현재까지 예보가 회수하지 못한 금액은 15조 1,369억 원에 달하는 반면, 향후 회수 가능하다고 추정한 금액은 약 1조 3,700억 원에 불과했다. 따라서 13조 7,669억 원은 회수가 불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이영 의원은 “매년 예보의 낮은 자금 회수율이 지적되고 있지만, 회수율은 여전히 절반 이하를 맴돌고 있다”라며 “예보는 회수율 제고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하고, 향후 공적자금을 투입할 때는 지원·회수·상환까지 운용 과정 전반을 고려하여 이 같은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국감2020] “출연연 기술이전 성과 부진 원인, 특허등급 하락 때문”
- [국감2020] “조폐공사, 최근 5년간 서이버공격 824건…실제 피해는 없어”
- [국감2020] 직제만 있고 사문화된 방통위 ‘옴부즈만 제도’
- [국감 2020]수자원공사, 입찰 특혜의혹 밝혀야
- [국감 2020] EBS '머니톡' 폐지 이어 라디오 ‘오천만의 재무상담’도 폐지
- [국감 2020]과기부·방통위 산하기관, ‘부적절 예산 집행’ 100억 원 넘어
- [국감 2020]보험 대리모집 EBS 머니톡 조기종영, 재발방지책 찾아야
- [국감 2020]정필모 의원 "내년 4대 과기원에 7133억 지원, 개선방안 시급"
- [국감 2020]이영 의원 "라임 사태... 환매 중단 전 기관투자자들은 펀드 런, 개인투자자만 묶여"
- [국감 2020]택배 노동자 죽어가는데, 대책이 '손목보호대' 지급?
- [국감 2020]53조 규모 우체국보험 책임준비금, 담당 보험계리사 단 1명
- [국감 2020] 현대자동차 김동욱 전무, 중고차 시장 진출 선언
- 예보, 채무조정제도 개선 통한 서민취약계층 재기지원 강화
- 엔젤투자 활성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김향자 기자
hyangja71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