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택배 노동자 6%만 통증 호소자"... 실제로는 51%는 통증느껴
정필모 의원 “허술한 분석과 부실한 대책으로 노동자 죽음 막을 수 없어”
택배 물류 노동자 사망이 계속되고 있다. 벌써 12명의 택배 노동자들이 과로로 숨져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지만, 올해 상반기 우체국이 우체국 택배 노동자들의 유해 요인 조사를 최초로 실시하고도 허술한 결과보고서를 내놓은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7월 우정사업본부는 전국의 우체국 택배 노동자 3,724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정상'이 2,559명(76%), 통증호소자는 52명으로 6%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정필모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는 우체국물류지원단에서 제출받은 '소포위탁배달원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결과를 재분석한 결과, 지난 1년 동안 '작업과 관련한 통증을 느낀 적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51%의 노동자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체국에서 발표한 결과보다 8.5배나 높은 수치다.
얼마나 오랫동안 또 얼마나 자주 아픈지에 대해서도 26.5%가 통증을 느낀 지 한 달이 넘었다고 답했으며, 1주일 이상 통증이 지속 되었다고 응답한 이들도 전체 28%, 매일 통증을 느낀다고 답한 노동자는 11.7%로 나타났다.
개선 대책 역시 부실했다. 결과보고서에는 ▲작업 전후 스트레칭 교육 및 실시 ▲공정별 올바른 작업자세에 대한 교육 실시 ▲100kg 이상 취급시 2인 동시 작업 ▲허리보호대 지급 착용 ▲파스 구비 ▲손목보호대 지급 착용 ▲박스 모서리 접촉 완화를 위한 쿨토시 지급 등을 개선 대책으로 제시했다.
이에 대해 정필모 의원은 “각 지역별로 200~300페이지가 넘는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결과 보고서’가 나왔지만 근골격계 질환을 분석한 내용은 1~2장에 불과했다”면서 “특히 택배 노동자 과로사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는 물품 분류작업과 상·하차 작업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분석조차 되어있지 않은 허술한 보고서”라고 지적했다.
정필모 의원은 “더 기가 막힌 것은 우정본부에서 내놓은 대책”이라며 “파스를 붙이거나 손목 보호대를 바르게 감는다고 택배 노동자들의 처우가 개선될 것이라 생각하는 우체국의 안일한 태도가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우정사업본부측은 "고용노동부 기준에 따라 심한 통증을 느끼는 노동자들만 통증호소자로 분류했다"면서 "미흡한 부분은 내년 조사부터 보완을 하겠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 [국감2020] 코로나19 가짜뉴스 ‘네이버카페’가 가장 많아…삭제 조치
- [국감 2020]예금보험공사, 저축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28조 중 절반도 회수 못해
- [국감2020] “출연연 기술이전 성과 부진 원인, 특허등급 하락 때문”
- [국감2020] 직제만 있고 사문화된 방통위 ‘옴부즈만 제도’
- [국감 2020]수자원공사, 입찰 특혜의혹 밝혀야
- [국감 2020]과기부·방통위 산하기관, ‘부적절 예산 집행’ 100억 원 넘어
- [국감 2020]디지털 성범죄 동영상 2만2천여건...방심위, 저장공간 5.5배(64TB→352TB) 업
- [국감 2020]정필모 의원 "내년 4대 과기원에 7133억 지원, 개선방안 시급"
- [국감 2020] 현대자동차 김동욱 전무, 중고차 시장 진출 선언
- 시민안전보험 수혜율 가장 높은 지역 '전북 임실'...서울, 가장 낮아
- 우체국 택배노동자 근무여건 개선 대책... 내년 시행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