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확정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으로 인공지능·종합반도체 강국 실현
2030년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천명 달성
정부는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으로 인공지능·종합반도체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000명 양성을 위한 2대 추진전략과 6대 실행과제를 마련했다.
정부는 지난 12일(월)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2.0)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그간 ‘인공지능(AI)’과 ‘시스템반도체’를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인공지능 국가전략’, ‘디지털 뉴딜’ 등을 통해 집중 지원해왔다.
이렇듯 정부가 인공지능 반도체에 집중하는 것은 최근 4차 산업혁명,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라 인공지능·데이터 생태계의 핵심기반이자 시스템반도체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은 아직 지배적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로, 지금부터의 국가적 대응 노력이 글로벌 주도권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제조 역량 등 우리의 강점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반도체를 집중 육성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한 것이다.
인공지능 반도체는 인공지능·데이터 생태계의 혁신과 미래 반도체 신시장 주도권 확보, 디지털 뉴딜의 성공 등을 위해 필수적인 핵심 기술분야다.
인공지능 반도체는 서버, 모바일,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합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며, 세계시장은 아직 초기이나,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6배 성장하여 총 1천17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인공지능 반도체 육성을 한국경제의 성장 핵심 동력으로 삼고 2대 전략추진과 6대 실행과제를 발표했다.
첫번째 추진전략으로 퍼스트무버형 혁신 기술과 인재 확보에 두었다. 이를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반도체 독자 개발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설계·소자·공정 기술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1단계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서버·모바일·엣지 분야의 혁신적 NPU, 미래 新소자, 미세공정·장비를 개발(2020~)한다.
2단계로 新소자, 혁신적 설계 기술 등을 융합한 초고성능‧초저전력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뉴로모픽, 3세대)’ 개발(~’29)로 ‘최고 기술’에 도전한다.
다음으로 세계 1위 메모리 역량을 활용하여 저장(메모리)과 연산(프로세서)을 통합한 PIM(Processing In Memory) 반도체 기술을 선점한다.
이를 위해 국내 상용·주력 공정과 연계한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차세대 메모리(신소자) 공정 기반 초격차 기술 확보를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민·관의 인공지능·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계기로 인공지능 반도체를 선제적으로 도입·확산하여 초기시장 수요창출을 견인한다.
이를 위해 민‧관 협력을 통해 ‘광주 인공지능 클러스터’ 등 공공‧민간 분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서버용 NPU)를 시범 도입‧검증하고, ’22년까지 인공지능 반도체가 탑재된 ‘고성능 인공지능 서버’를 자립화한다.
국내 기업이 취약한 소프트웨어 분야 국가 R&D 및 기술애로 특화지원 프로그램을 신설(2021)하고, 산‧학‧연 협력 연구와 인공지능 서비스 수요와 연계한 기술실증 지원도 확대(2021~)한다.
아울러 기업·정부가 1:1 투자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아카데미 사업을 신설하고, 석·박사급 설계인력을 집중양성하는 선도대학을 육성(2020~)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반도체 실습 인프라 및 재직자·학부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강화,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경연 등을 통해 인력저변도 확대한다.
두 번째 추진전략으로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두었다.
‘1社 1Chip 프로젝트’, ‘인공지능 반도체 핫라인’ 및 ‘인공지능 칩 테스트베드’ 구축 등 全주기 수요-공급 신속통로를 구축·운영하고, ‘디지털 뉴딜 프로젝트’ 및 지능형 IoT 디바이스 개발 등 D.N.A 서비스 혁신과 연계하여 선도적인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을 창출(2021~)한다.
또한 팹리스-IP기업의 공동 R&D(‘SoC-IP 패키지형’) 및 디자인하우스의 팹리스 협력(IP 설계, 공정최적화 등)을 지원하고, 국내 파운드리의 공정 개방 확대 및 IP의 호혜적 오픈도 제공한다.
여기에다 세계 최고의 파운드리 경쟁력을 위해 인공지능 반도체 공정혁신 밸리를 조성하고, 첨단 공정장비·소재 기술을 개발한다.
특히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 대상에 차세대 반도체*를 포함하고 투자설명회를 통해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자금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미 조성된 반도체 펀드(시스템반도체 상생펀드·성장펀드)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의 R&D, M&A 등에 700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지난 6월 개소한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의 제2캠퍼스로 시스템반도체의 인공지능化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혁신설계센터를 조성한다.
신축되는 혁신설계센터에서는 인공지능 팹리스 전용 지원공간, 기술지원그룹, 전문교육프로그램 등을 신설하여 인공지능 반도체 역량을 제고한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기업이 보유한 역량을 국내 팹리스에 개방하여 설계부터 생산까지 책임지는 창업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민·관 협력 추진체계를 구축하여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차질 없는 이행 및 성과점검을 위해 정부와 산·학·연이 참여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전략회의’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이날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인공지능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반도체 시장을 바꿀 게임 체인저이자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핵심성장 엔진이며, 이것이 지난해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수립 1년만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전략을 수립한 이유”라고 언급했다.
이어 “지난 20년간 우리 수출과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 온 반도체 산업 역량을 바탕으로, 메모리반도체 超격차를 유지하고 인공지능 반도체 新격차를 창출하여 ’30년 종합 반도체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인공지능 반도체는 향후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데이터 댐 등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로서, 우리의 강점을 바탕으로 민간과 정부가 협력한다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력 분야”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선제적 투자로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여 커져가는 세계시장에 도전하기 위해 이번 대책을 수립하게 된 것이며, 대형 R&D 및 인력양성 프로젝트, 디지털 뉴딜과 연계한 초기 수요창출 등 제반 정책과제들을 차질없이 시행해 세계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한국-유럽, 코로나 이후 ICT 표준 방향 모색한다
- 2.2만여개 AI 데이터 가공 일자리 정보 한눈에
- 파운드리, 유례없는 호황... EUV 양산업체 TSMC와 삼성전자 뿐
- 대한민국, 제1회 OECD 디지털정부평가 종합 1위
- SK 하이닉스, “인텔 NAND 사업부 인수... 미래 위한 투자”
- IC인사이츠, “D램 가격, 올해 말까지 하락 예상... 올해 D램 수요 확장은 게임기 시장에서 기대”
- 5G 핵심콘텐츠 게임, “5G와 MEC이 필수적"
- 삼성전자‧SK하이닉스 3분기 D램 매출 소폭 감소
- 내년 AP 이슈 ‘5G 원칩‧화웨이 규제‧애플 실리콘‧엑시노스 경쟁력 개선’
- 한미반도체, "글로벌 OSAT 수요증가와 EMI 실드 시장 확대 수혜"
- “삼성전자 12개월 목표주가 9만2000원 상향...투자의견 ‘매수’ 유지”
- "향후 5년간 팹리스‧파운드리가 전체 IC 매출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