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화하는 5G & 엣지 컴퓨팅
고상봉 델 테크놀로지스 전무 ”장기적으로 B2B가 5G 시대 성장동력 될 것“

5G의 본격적인 도입으로 인해 에지 영역의 기술발전과 적용사례는 더욱 더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은 새로운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만들고 배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새로운 수익기회를 만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오후 2시 델 테크놀로지스가 개최한 ‘The Shift’ 버츄얼 컨퍼런스에서 델 테크놀로지스의 고상봉 전무는 ”세 가지 유저케이스인 eMBB(인핸스드 모바일 브로드밴드, 향상된 무선 초고속서비스), MMTC(대규모 머신타입 커뮤니케이션), URLLC(초지연 고실내 서비스)는 네트워크 에지에 가상 코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버추얼 EPC 및 MEC를 통해 빠른 시간 내 더욱 더 확산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델 테크놀로지스 고상봉 전무 (출처=델 버추얼 컨퍼런스 캡쳐)
델 테크놀로지스 고상봉 전무 (출처=델 버추얼 컨퍼런스 캡쳐)

정부, 2026년까지 5G 일자리 60만개↑ 생산액 180조원   
전 세계 5G 인프라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5세대 이동통신 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 협력으로 2023년까지 30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향후 추가 투자금을 통해 2026년까지 일자리 60만개 이상 창출을 목표로 하며, 이 기간 5G 산업에서 생산액 180조원, 수출액 약 83조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고 전무는 ”이제 3년차에 접어든 5G는 당초 우리의 기대와는 아쉬움이 많지만 여러 방면에서 우리 삶에 서서히 스며들고 있다. 상용화 초기 단계 기술과 서비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생소하면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데 그치지만 이러한 경험이 쌓이면서 시장은 발전하고 우리 생활에 스며들게 된다“고 말했다. 

고 전무는 ”5G 표준 규격이 다양한 산업 환경을 위해 설계되면서 장기적으로 B2B가 5G 시대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면서 ”국내 5G 시장 규모는 두 자릿수 이상 성장세를 유지하며 2024년 19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며, 국내에서는 제조업 및 자동차 영역에서 가장 큰 사회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G는 4G 및 그 이전 통신과 크게 3가지 다른 특징이 있다. 첫째, 속도다. 기존 4G보다 20배나 개선된 20Gbps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초광대역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수 분 걸리던 영화 다운로드가 수초면 된다. 이는 소비자에게 놀라운 경험을 제공함으로서 5G 확산에 도움이 될 거라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출처=델 버추얼 컨퍼런스 캡쳐)
(출처=델 버추얼 컨퍼런스 캡쳐)

둘째 증가된 커넥션 덴서티다. 5G에서는 1평방킬로미터 당 약 100만개의 디바이스를 수용함으로서 현재 건설, 제조 및 산업현장에서 성장하고 있는 IoT를 향후 헬스케어, 스마트홈, 교통, 에너지 등 분야에서도 활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게 해 대규모 사물통신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초지연성이다. 5G는 기존 4G에 비해 10배 이상 지연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이는 휴먼 비주얼 프로세싱 시간보다 짧아 실시간 원격 디바이스 컨트롤을 가능하게 해 리모트 로보틱스 및 커넥티버티 카 등 5G 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고 전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유저 케이스를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5G는 다른 관련 기술 및 플랫폼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면서 ”기업과 통신사업자 모두 5G와 네트워크 엣지 컴퓨팅 결합을 통해 어떻게 하면 비즈니스 혁신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을 지와 같은 중요한 부분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각각의 인더스트리 4.0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특정 회사를 둘러싼 에코시스템 진화 및 5G 아웃도어뿐만 아니라 인도어 역할에 대한 고민과 이를 도입할 방안 역시 기업이 DX 가속화하는 데 있어서 놓쳐서는 안 될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현재 제공가능하거나 가까운 미래에 더욱 발전될 유저케이스로는 인더스트리 4.0 혹은 스마트 팩토리에서 AR/VR 기반 게임 및 교육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일부 유저케이스는 인도어 커버리지가 필요한 반면 다른 유저케이스는 아웃도어 커버리지를 필요로 하며 범위는 도심 및 농촌 환경 모두에 걸쳐 있다.

대부분의 유저케이스는 고속의 로봇 제조와 같이 매우 짧은 대기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기업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유저케이스를 다수의 방식으로 소비할 수 있다.

고 전무는 ”요약하자면 실제 5G를 활용한 유저케이스가 상당한 ROI와 함께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각 유저케이스는 각 사례별로 극복해야 할 고유한 문제, 예를 들면 커넥티비티 덴서티, 인도어, 아웃도어, 스피드, 레이턴시 등을 고려해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기업의 특화된 요구사항에 따라 유연한 소비모델을 적용해 이러한 유저케이스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G 기술을 핵심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는 주요 기술은 모바일 에지컴퓨팅, 멀티 액세스 컴퓨팅,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MEC)이다.

고 전무는 ”오늘날 우리는 퍼블릭, 프라이빗 및 하이브리드와 같은 잘 확립된 클라우드 운용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면서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은 몇 가지 더 많은 가능성을 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의 주요 이점은 새로운 수익 기회 창출

첫째, 기업이 온 프레미스 전략의 일부로 에지 컴퓨팅을 구축하는 부분이다. 둘째, 클라우드로서의 네트워크 에지다. 고 전무는 ”네트워크 에지와 클라우드는 상호 보완적이다. 즉,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과 다른 기능의 결합은 새로운 클라우드 데스티네이션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유저케이스를 구축하려는 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고 전무는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의 주요 이점은 새로운 수익 기회 창출로,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은 새로운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만들고 배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새로운 수익기회를 만든다“고 강조했다. 

(출처=델 버추얼 컨퍼런스 캡쳐)
(출처=델 버추얼 컨퍼런스 캡쳐)

이어 델 테크놀로지스가 DX를 지원하고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다음 4가지 분야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고 전무는 ”첫째, 사용자단(CLIENT&WORKFORCE)에서 5G 및 네트워크 에지 컴퓨팅 기술과 함께 많은 엔드유저 컴퓨팅 요구사항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이어 ”당사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및 기타 비주얼 컴포넌트들이 AR/VR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지원해야 할 것이며, '올웨이즈 커넥티드 PC'처럼 미래에 구현될 5G 디플로이먼트 모델을 따르는 엔드 포인트 관리시스템이 구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둘째, IoT 및 에지 컴퓨팅 인스턴스 또는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온프레미스나 네트워크 에지에 구축되는지에 관계없이 새로운 유저케이스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라고 강조했다. 

고 전무는 ”세 번째로 특화망(PRIVATE MOBILITY)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유니파이드 커넥티비티(UNIFIED CONNECTIVITY)가 있다. 우리는 우선순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5G 연결을 통해 전송할지 픽스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팔러시프레임워크를 SD1을 통해 구축하는 것 또한 지원 가능하다“고 말했다. 

고 전무는 ”델 테크놀로지스는 5G 및 에지 컴퓨팅을 위한 IT 하드웨어 장비 공급뿐만 아니라 쿠퍼네티스, 오픈 스택 등 다양한 하이퍼 바이저 솔루션과의 유기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그 위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솔루션 개발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AI, 머신러닝, 스마트 팩토리와 같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저케이스를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