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등 ‘작업증명’ 채굴 원천금지…엘살바도르 ‘국가 공식 법정화폐로’

국제 암호화폐 시장이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선 최초로 공식적인 법정화폐로

지적하는가 하면, 반대로 중국 등에선 아예 블록체인 작업증명 시스템의 채굴을 금지하면서, 암호화폐 자체를 불법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제공=픽사베이)
(제공=픽사베이)

투자자들로선 매우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그런 혼란이 오히려 투기 심리를 부추긴 탓인지, 9일 비트코인은 또 다시 급상승세를 보여 국제 암호화폐 시장의 앞날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등 국내외 암호화폐 전문매체에 따르면 최근 중국 칭하이성은 암호화폐 채굴을 전면 금지했다. 그렇잖아도 중국도 인민은행 차원에서 세계 최초로 디지털 법정화폐를 만드는 등 사적 영역에서의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강한 경계심을 드러내왔다.

이번 칭하이성은 조치는 방식만 다를 뿐, 그런 중앙정부의 입장과 궤를 같이한 것이라는 관련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칭하이성과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은 현재 영업 중인 모든 암호화폐 채굴 업체를 폐쇄하거나 영업중지를 명령했다. 칭하이성은 아예 앞으로 모든 프로젝트를 승인하지 않겠다고까지 한 칭하이성 당국의 승인을 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내몽골 자치구도 불법 채굴업체를 단속하겠다고 나선 바 있어, 사실상의 ‘암호화폐 금지령’은 중국 전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이한 것은 이런 움직임은 암호화폐의 본고장이라고 할 미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 뉴욕주도 조만간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주 의회는 뉴욕주 안에서는 특히 비트코인 채굴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겉으로는 ‘환경 오염’을 내세우고 있다.

과다한 탄소배출로 인해 기후변화를 부추긴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그 못지않게 암호화폐의 불안정한 특성과, 이로 인한 투자자들의 과도한 리스크 등도 원인이 되고 있다. 어떻든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암호화폐 채굴이 뉴욕주 내에서 금지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는 정반대로 중남미의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세계 최초로 국가 법정화폐로 공식화하고 나섰다. 9일 엘살바도르 의회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하는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의 승인안을 과반수 찬성으로 가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엘살바도르만의 절박한 사정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가 산업이 거의 고사 상태에 들어간 엘살바도르는 전체 예산과 해외이전수입의 20%가량이 해외 이민자들의 송금으로 이뤄지는 나라다. 그러나 거액의 송금액만큼이나 송금 수수료 또한 막대한 규모에 달해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엘살바도르 정부는 “막대한 수수료가 이전수입을 갉아먹느니, 차라리 수수료가 거의 없는 블록체인을 활용하는게 낫다”는 판단을 내리고, 기존 암호화폐를 법화로 공식하기로 한 것이다. 이는 세계 최초의 사례로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 비상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10일 <고뱅킹레이츠> 등 암호화폐 전문 사이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현지 시간 9일 아침 약 3만7달러에 거래되고, 이더리움은 약 2600달러에 근접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국제적인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한쪽에선 법정화폐로 승격시키는 등의 양상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투기심리가 오히려 살아난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한 모습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