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GM의 자율주행 개발에 ‘2조 2000억원’ 투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제너럴모터스(GM)의 자율주행 개발에 투자를 결정했다.
19일(현지시각) 로이터,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GM의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크루즈가 MS, 혼다 등 기관투자자들로부터 20억달러(약 2조 200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크루즈와 MS는 공식성명을 통해 지난 19일 발표된 이번 투자로 크루즈의 총 가치를 300억달러(약 33조원)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발표했다. 크루즈는 GM이 과반수 지분을 보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MS의 애저(Azure)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해 자율주행차 개발을 도울 것이라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MS의 투자 소식에 GM은 이날 뉴욕증시에서 10%나 급등세를 보였다.
크루즈의 CEO인 댄 암만(Dan Ammann)은 성명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더 안전하고, 더 좋고, 더 저렴한 교통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우리의 임무는 단순한 기술 경쟁이 아니라 신뢰의 경주”라면서 “MS는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로서, 우리가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를 상용화하는데 있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서 크루즈는 모기업인 알파벳사의 소프트웨어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웨이모와 자율주행 상용화 경쟁에 나설 수 있게 됐다. MS는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가까워짐에 따라 잠재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새로운 클라우드 컴퓨팅 고객을 확보하게 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MS의 애저 클라우드는 데이터를 중앙 서버 팜으로 다시 전송할 필요 없이 센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위해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율주행차 기술은 일련의 센서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존하기 때문에 크루즈는 소프트웨어 대기업의 중요한 수익 흐름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알파벳이나 애플과 같은 다른 소프트웨어 회사들과는 달리, MS는 자율주행차 자체에 대한 노력을 하지 않고 오히려 자동차 회사에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한편, GM은 지난 2017년 완전 자율주행 전기차를 2019년 말까지 양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17년 미국 뉴욕에서도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 계획을 발표했지만 아직 시험 운행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루즈는 최근 몇 달 사이 자율주행차 개발 노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공공 도로에서 더 많은 로봇 택시 테스트를 승인했고, 지난 달 신생업체 누로(Nuro)에 자율주행차 배송에 대한 첫 상업용 허가를 내주었다.
업계에서는 MS의 클라우드 플랫폼이 크루즈가 상업용 자율주행 차량을 성공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모든 자율주행 차량을 파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려면 강력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갖는 것이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필수라는 의견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크루즈가 자율주행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다음 단계는 캘리포니아 주의 승인을 구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SK증권은 이에 대해 “최근 전기차 업계와 배터리 업체와의 협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는 IT기술이 필요한데, 이에 클라우드 플레이어와의 협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 → 자율주행이 궁극적 방향인데, 데이터 사용 증대는 필연적이다. MS-GM, 중국 텐센트-지리 등의 협력이 향후 클라우드 선점효과로 나타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新패러다임 자동차 산업...닮은 듯 닮지 않은 '삼성ㆍSKㆍLG' 전략은?
- 애플의 ‘이유있는 야심’
- 치열한 수싸움…애플 ‘잔머리’에 현대차 ‘주판굴리기’
- 차량용 HUD ‘홀로그램‧AI‧AR'로 진화 중’
- 진짜 자율주행은 ‘라이다‧센서’ ,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핵심
- 자율주행 1등 국가 도약 위한 사업 본격 착수
- 자동차 생산에 붙는 EV 플랫폼, ‘OS 주도권에 주목’
- ETRI, 자율주행·전기안전 표준화 방향 제시
- 10년 내 6G시대…HCI에 의한 ‘4차산업혁명’ 완성된다
- 중국 바이두 전기차 사업에 본격 진출
- 애플-현대차 자율주행 공동개발... “함의에도 주목”
- 라이다‧전고체 배터리, ‘자율주행차’ 승부 결정
- 자율주행 4단계 핵심기술 개발에 1조1000억 투입
- "전기차 시장이 국력(?)"...'지역별 밸류체인 주목'
- 테슬라, "저단가 중심 정책으로 영업이익 예상↓“
- "2차전지 성장성 지속"...12월 전기차 판매 전년비 93.4% 상승
- Car to Life 가능 플랫폼 기업 OS 확장 어디까지?
- 정유화학‧2차전지 "이벤트 앞두고 배터리 불확실성 확대"
- ‘하차 불필요’ 배터리 교체 서비스의 성장 가속화
- "350만대 신차가 레벨 2 자율주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