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SW는 있는데 HW‧장치 필요”…현대차 “거대한 애플 시장 탐나지만~”

애플이 현대차에 전기차 협업을 제안한 가운데 현대차가 과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가 비상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선 결론이 쉽지 않을 것이란게 관련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이는 장차 10억에 달하는 애플 생태계를 둔 양측의 계산과 함께 협업에 의해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전기차 시장을 누가 주도할 것이냐를 둔 치열한 주판굴리기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현대차도 나름대로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 발전시켜나가고 있는 형국이어서 더욱 계산이 복잡해지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 “단순 OM업체 취급 용납 안돼”

업계 전문가들 분석에 의하면 현대로선 일단 싫지는 않은 입장이다. 그러나 애플이 어디까지를 내놓고 그로부터 뭘 얻을 것인가가 핵심이다. 만약에 애플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처럼 그저 주변기기나 하드웨어만을 납품하는 OM업체처럼 현대차가 취급당하는 건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협업에 의해 완성된 자율주행 전기차의 경우 우선 ‘작명’ 단계에서부터 신경전이 벌어질 것이란 예측이다. 이른바 ‘애플 현대차’, 혹은 ‘애플카’나 ‘현대차 애플 버전’ 등 여러 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 애플로선 당연히 ‘애플카’를 원하지만 현대는 ‘현대차 애플 버전’을 요구할게 당연하다.

 

‘10억명 달하는 애플 생태계’가 가장 탐나

다만 현대차가 가장 ‘눈독’을 들이는 것은 따로 있다. 즉 전세계 10억명으로 추산되는 애플의 충성도 높은 고객들이다. 거대한 애플 생태계라고 할 수 있다.

만약에 단순한 ‘애플카’가 아니고, ‘현대차 애플 버전’이 애플카의 생태계 안에 들어갈 수만 있다면, 현대차는 현재의 5위권에서 단숨에 디지털 시대 세계 최고의 자동차 회사로 도약할 수 있다는 기대도 갖고 있다.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겸임교수는 최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이를 뒷받침하는 예측을 내놓았다.

그는 “일단 10억 명이라는 기본 고객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서 10%만 가져와도 1억 명”이라며 “만약 1억 대를 판다고 치면 현재 전 세계에서 한 해 동안 연간 판매되는 자동차가 8천 7백만 대를 뛰어넘는 숫자”라고 말했다.

그럴수록 더욱 주도권 싸움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현대차로선 그럴수록 신중할 수 밖에 없다는게 최근의 관전편이다.

앞서 권 교수는 그러나 현대차 입장의 ‘이상적인 협업’은 있을 수 있다고 나름의 방안을 제시, 눈길을 끌었다. 즉 “일단 양측이 손을 잡고, ‘애플카’를 만들어준다. 그런 다음 현대는 똑같은 차를 ‘현대차’로 네이밍해서 출고하면 된다”면서 “그럴 경우 아무래도 애플카는 비쌀 것이므로, 현대차는 조금 싼 가격으로 내놓으면, 거대한 애플 생태계를 공략하고, 그 속에 진입해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발상이다.

 

애플, BMW․벤츠에도 제의…협상 결렬

사실 애플의 이같은 시도는 현대차가 처음은 아니다. 이미 애플은 독일의 BMW와 벤츠에게 비슷한 내용의 협업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최종 협상 과정에서 데이터의 소유권을 두고, 양측의 입장이 극명하게 갈려서 결국 결렬되고 말았다.

BMW, 벤츠 입장에선 오로지 하드웨어나 장치, 부품만 공급하는 방식은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지금의 상황도 흡사하다. 애플은 분명 인공지능 기술이나 SW에선 단연 앞서 간다. 반면에 현대차는 세계 톱 클라스의 자동차 생산 플랫폼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현대차 나름대로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을 부지런히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레벨 3나 레벨4의 자율주행 전기차 개발을 위해 다른 글로벌 기업들과의 제휴나 M&A도 진행 중이거나 체결한 상태다.

이에 반해 애플은 아직 자율주행 기술 등 자동차에 직접 적용할 만한 기술 단계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른바 ‘타이탄 프로젝트’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을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진도가 잘 나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모든 정황을 고려할 때 현대차로선 “관심은 가지만, 덥썩 받아들이기엔 찜찜한” 거래인 셈이다.

 

양측 협상 “쉽지 않을 듯”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뿐 아니라 글로벌 완성차 업계들은 이런 거대한 애플 생태계에 대해 늘 군침을 흘리고 있는 입장이다. 현재차라고 예외가 될 수 없다. 만약에 누군가가 10억 명의 애플 시장에 진입해 주도적으로 성과를 낸다면 세계 완성차업계의 판도가 달라질 판이다. 애플 역시 자신만의 ‘애플카’를 만들어 기왕의 고객들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의 자동차 메이커로 등장하고 싶은 욕심이 클 수 밖에 없다.

권용주 교수는 “그러나 현대차 역시 지금 현재는 (애플에게) 다소 뒤질 수 있으나 몇 년 후엔 애플에 버금가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충분히 개발할 수 있는 여력을 지니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런 만큼 현대차로서도 그리 서두를 필요는 없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수싸움’은 상당한 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