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저출산 여파…
이미 필리핀, 태국, 베트남 노동자 80만 명에 달해
[애플경제 다니엘 킴 대만특파원]
대만과 인도는 지난주 ‘제1차 외국인 노동자 협력 실무급 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추진 계획 및 진행 방법 등에 대해 공감대를 확인했으며, 1차로 인도 노동자 천 명을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외국인 노동력 수요가 큰 전통 제조업을 우선으로 하며, 이중 5%는 고용주가 온라인으로 직접 신청할 수 있는 직접 고용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양측은 직접 고용 제도를 전담하는 창구를 개설하기로 했으며,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 번 실무회의에서 다룰 예정이다.
이번 실무회의는 올해 2월 ‘대만-인도 노동력 협력’ 관련 MOU 체결에 따른 것으로, 이번 제1차 실무회의에는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서장 차이멍랑(蔡孟良), 인도 해외노동자 보호국 국장 Mr. Surinder Bhagat이 공동 주최했으며, 양측의 외교, 경제, 대표부 인원들도 참석했다. 이번 제1차 실무 회의에서는 향후 회의 진행방식, 구체적인 추진 계획, 인도 노동자 도입 절차, 직접 고용 창구 및 직접 고용 시스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아래 3가지 결정 사항에 대해 발표했다.
1. 향후 실무회의는 양측의 부서장급에서 진행하며, 격월로 1회 온라인 미팅으로 진행한다. 필요시, 임시회의를 개최한다.
2. 양측은 “인도 노동력 추진 프로그램”을 공동 진행하며, 실무회의를 통해 탄력 있게 진행한다. 양측은 1차로 소규모 인도 노동력 도입에 합의했으며, 천 명을 대만 전통 제조업에 우선적으로 도입하며, 이중 5%까지 대만 고용주가 직접 고용할 수 있도록 한다. 1차 인도 노동력 도입 후, 사회적 반응 및 산업 효과 등 포괄적인 평가 후 적용 업종 및 근로자 수를 확대하기로 한다.
3. 양측은 직접 고용 관련 전담조직을 지정하기로 동의하고, 대만은 노동부 노동력발전서를 인도는 해외노동자보호국을 전담조직으로 지정한다. 대만은 인도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해외노동자 보호, 관리 온라인시스템인 eMigrate 2.0를 이용, 온라인으로 해외노동자 관련 사무를 처리할 예정이다.
대만은 인도 노동력 도입과 관련, 치안 등 사회 각계 폭넓은 의견을 수렴, 노동력 수요가 높은 전통 제조업을 우선으로 인도 근로자 천 명을 1차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대만은 초고령화, 저출산 등 여파로 이미 필리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외국인 근로자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대만 내 외국인 근로자 수는 현재 약 80만 명에 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