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리프트, 운전자 부족 따른 인건비 상승이 서비스 이용가로 전가 
코로나19 백신 보급 빨라 경제 회복 속도↑

미국 내 코로나19 백신보급이 빠르게 진척되면서 우버·리프트와 같은 승차공유 업체의 가격이 지난해 대비 40%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는 30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코로나 팬데믹이 잦아들고 많은 사람들이 일상으로 돌아오면서 우버·리프트의 차량호출 서비스 가격이 오르고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외신은 "심지어 공항에서 우버를 타는 것이 비행기 표만큼 비싼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우버·리프트는 이용료가 인상됐고 호출 뒤 대기 시간이 더 길어졌다고 시인하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우버 앱(제공=우버)
우버 앱(제공=우버)

리서치 업체 라쿠텐 인텔리전스(Rakuten Intelligence)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승차공유 가격이 1년 전보다 37%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4월에는 비용이 40%까지 치솟았다. 이는 운전자 부족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서비스 이용 가격으로 빠르게 전가된 것으로 풀이된다. 

외신은 우버와 리프트는 운전자들을 위한 추가 인센티브에 돈을 쏟아 붓고 있으나 감염에 대한 우려로 운전자들이 완전히 복귀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우버와 리프트 운전자들은 미국에서 독립 계약자로 분류되어 실업 보험을 받지는 않지만 코로나19 부양책인 ‘케어스 액트(CARES Act)에 따라 실업 지원금 수령 자격을 취득해 일자리 복귀가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버는 지난 5월 초 실적 보고서에서 올 들어 3월까지 활동 중인 운전자와 택배기사가 350만 명으로 전년보다 22% 줄었다고 밝혔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한 콘퍼런스에서 "운전기사 공급이 미국 내 수요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활동 지수(Apple Mobility Driving Index) (제공=SK증권)
미국 활동 지수(Apple Mobility Driving Index) (제공=SK증권)

승차공유 회사들은 미국 내 여행 수요의 상승에 대처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운전자가 충분하지 않을 때, 회사들은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 때로는 운전자들을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유인하기 위해 소위 급등 가격 책정에 의존하기도 한다.

우버는 운전자 수익을 높이고 지급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2억5000만달러(약 2765억원)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급경색이 지속될 경우 기업들이 추가 금융약속을 해야 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일부 급등세로 인해 가격이 50% 이상 올랐다고 대니얼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주식 리서치 담당 전무는 말했다. 이는 곧 운전자들의 복귀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고객이 더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당장은 회사에게 더 좋은 문제이지만, 지속되면 수익성의 타임라인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SK증권은 1일 “승차 공유 비즈니스 가격 및 수익성 유지 여부가 주목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