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자산성장동력은 ‘연간저축여력’, ‘종잣돈’, ‘부채 활용’, ‘투자자산분배 전략’
한국 부자는 2019년 말 35만4000명으로 2010년 이후 2.2배 증가
코로나19로 인해 부자의 30.5%는 소득 감소를, 27.5%는 자산가치 하락을 경험
KB금융, 한국 부자의 자산관리법을 분석한 ‘2020 한국富者보고서’ 발간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의 한국 부자들이 생각하는 장기 유망 금융투자처는 ‘주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자의 자산동력은 ‘연간저축여력’, ‘종잣돈’, ‘부채 활용’, ‘투자자산분배 전략’인 것으로 조사됐다. 

KB금융그룹은 28일 한국 부자의 현황과 부의 생애, 부자의 자산운용 방법을 분석한 ‘2020 한국富者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2011년 첫 발간 이후 올해로 10년차를 맞는 ‘2020 한국부자보고서’는 특집으로 지난 10년간 한국 부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부자 수와 금융자산 변화, 부자의 투자 행동 변화 등의 내용을 담았다.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한국 부자 수와 지역별 현황을 추정하였고, 지난 7월6일부터 5주간,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고자산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KB금융은 “본 보고서는 특정 금융기관 이용에 한정된 고객이 아닌 전체 고자산가를 대상으로 진행되어 보다 일반적이고 심층적 결과를 담은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제공=KB금융그룹)
(제공=KB금융그룹)

‘2020 한국부자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한국 부자 수는 2.2배 증가했고, 총금융자산 규모는 1.9배 늘어났으며 ▲10년 전 ‘대면’ 중심에서 현재 인터넷∙모바일의 ‘비대면’ 중심으로 금융거래에 변화가 왔으며 ▲10년 전에 비해 자산 이전의 방법으로 ‘기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 한국 부자 현황을 살펴보면 ▲2019년 말 한국 부자 수는 35만 4천명, 총금융자산은 2154조원으로 ▲한국 부자의 70.4%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부자가 생각하는 장기적으로 가장 유망한 금융투자처는 ‘주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KB금융그룹)
(제공=KB금융그룹)

부자들은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투자하고 있는 주식 종목이 다양하고, 해외주식 및 코넥스 시장 거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자산 30억원미만 부자의 경우 투자하고 있는 종목이 6개 이상이라 응답한 비율이 36.3%인 반 면 30억원이상 부자의 경우 53.6%가 6개 이상 투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투자 중인 주식시장의 경우 코스피와 코스닥에 투자하고 있다는 응답은 금융자산규모별 유사하나, 해외주식, 코넥스, 기타 장외 시장에서 투자하고 있다는 응답은 30억원미만 대비 30억원이상에서 각 시장 모두 2.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제공=KB금융그룹)
(제공=KB금융그룹)

또한 주식거래 채널에서도 보유자산별 차이가 나타나는데, 30억원미만에서 지점방문 7.0%, 전화 주문이 6.0%인 반면 30억원이상에서는 지점방문 15.9%, 전화주문 10.1%로 각 채널 모두 2배 내외로 높게 나타났다.

부자들은 전반적으로 주식 투자기간을 연단위 장기투자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금융자산별 투자 기간의 경우 30억원미만에서 포트폴리오상 중・장기 투자 비중은 75.3%인 반면 30억원 이상에서는 80.7%로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장기투자 성향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부자의 30.5%는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감소를, 27.5%는 자산가치 하락을 경험했고 ▲부자들 중 19%가 시장 변화에 맞춰 자산 포트폴리오를 점검했고 종합자산가치가 상승한 부자들이 포트폴리오 조정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