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3,467억원 민생금융지원 집행 완료
KB국민은행, 소상공인 및 청년 대상 맞춤형 지원으로 상생 경영 실천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고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소상공인과 금융 취약 계층의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은행권이 이들을 돕기 위한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은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확대하며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하나은행은 3,467억 원 규모의 지원을 마무리했으며, KB국민은행도 올해 다양한 상생 금융 프로그램을 이어갈 계획이다. 두 은행은 앞으로도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며 경제 회복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하나은행, 이자 환급·에너지 지원으로 소상공인 부담 완화
하나은행은 지난 1년간 총 3,467억 원 규모의 민생 금융 지원을 집행했다.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 이자 환급을 비롯해 신용보증, 에너지 비용 지원 등 폭넓은 금융 지원책을 마련했다.
은행권이 공동으로 추진한 개인사업자 대출 이자 환급 프로그램을 통해 1,999억 원을 돌려줬으며, 서민금융진흥원에 612억 원을 출연하고, 지역신용보증재단에도 140억 원을 지원했다. 이와 함께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무역보험공사 보증료 등에 148억 원을 배정하며, 금융 취약 계층의 보증 부담을 낮췄다.
특히 소상공인의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생활비 지원에 300억 원을 투입했다. 이와 더불어 사업장 환경 개선, 디지털 전환 기기 교체, 맞춤형 컨설팅 지원 등에 100억 원을 배정하며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했다.
또한, 신용회복위원회와 협력해 채무 조정으로 신용도가 낮아진 금융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카드 발급과 공공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청년 창업가를 위한 사무실 임차료 지원,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를 위한 정산 채권 팩토링 서비스 등도 제공 중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소상공인 지원 방안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금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 맞춤형 금융 지원으로 금융 취약 계층 지원
KB국민은행도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총 3,721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책을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545억 원을 직접 집행했다.
KB국민은행은 소상공인 지원, 청년 지원, 금융 취약 계층 보호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상생 금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위한 대출 지원, 창업 컨설팅, 협약 보증 프로그램 등을 통해 경영 부담을 줄이고 있으며, 금융 취약 계층이 법적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무료 법률 구조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청년층을 위한 지원도 확대됐다. 자립 준비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천원의 아침밥’ 사업에도 참여해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KB국민은행은 올해 금융감독원이 선정한 ‘상생 협력 증진 우수 기관’에 은행권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며 "국민의 평생 금융 파트너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