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kTok, 미국 사용자에 대한 일부 서비스 복구
틱톡 금지 75일 유예… 트럼프 대통령 “미·중 합작 법인 제안”
협상·규제 논란 당분간 이어질 전망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미국 현지 시간) 틱톡 금지 시행을 75일 동안 연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결정은 1월 19일에 발효된 '금지법' 시행을 잠정적으로 미루고, 틱톡과 그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미국의 국가 안보 우려를 해결할 수 있는 협상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틱톡과의 거래를 통해 일부 지분을 확보할 자격이 있다“라며 향후 계획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은 미국 내에서 지속된 틱톡 논란을 이어가는 한편, 법적 절차에 따른 변화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의회는 지난해 4월,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고 이를 중국 정부와 공유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며 금지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는 1월 18일 밤부터 중단될 위기에 처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 전날인 19일, 일부 서비스를 재개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지분 50% 이상을 미국 기업이 보유하는 합작 회사를 만들자는 제안을 하며, 틱톡의 가치를 1조 달러로 예측했다. 그는 또한 미국 기업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형태로 협상을 이끌어 갈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이는 틱톡의 안전한 운영과 미국의 안보를 동시에 고려한 해결책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중국이 이 거래를 승인하지 않으면, 우리는 결국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도 내비쳤다.
틱톡과 그 콘텐츠 제작자들은 2024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금지 법안에 대해 위헌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기각하고 틱톡 금지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틱톡의 1억 7천만 명 이상의 미국 사용자들은 앱 사용 중단 위기에 처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기 위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대화를 예고하며 법적 논란이 해결될 수 있도록 협상을 진행할 의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 틱톡 금지를 추진했으나, 지난해 대선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젊은 층을 겨냥해 틱톡을 적극 활용하며 ‘틱톡 금지 반대‘로 입장을 바꿨다. 이는 공화당 고액 후원자이자 틱톡 주요 주주인 제프 야스 서스퀘하나 공동 설립자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행정명령은 틱톡이 미국 기업의 손에 넘어가면 가치를 크게 높일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판단이 담긴 결정으로 바이트댄스는 매각 의사를 거부해 왔다. 일부 전문가들은 틱톡의 가치를 고려했을 때 이를 인수할 기업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는 반면, 부동산 투자자인 프랭크 맥코트와 방송인 케빈 오리리 등은 틱톡 매입을 시도하고 있다.
틱톡의 CEO인 추 쇼우즈(Shou Chew)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하며,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추 CEO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뒤, 취임식 당일에는 수천 명의 트럼프 지지자들과 함께 행사에 참여하며 틱톡의 미국 내 활동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틱톡의 향후 운명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일부 정치인은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완전히 매각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법적 논란이 예상된다. 틱톡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는 향후 몇 주간의 협상과 법적 절차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