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핀테크 VC투자액 423억달러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올해에도 전세계적으로 벤처캐피털(VC)의 핀테크 영역에서의 투자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KPMG가 발간한 보고서(Pulse of Fintech H2 2020)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핀테크 투자는 1053억달러로 전년(1680억달러) 대비 약 37% 감소한 반면 핀테크 기업에 대한 VC의 투자는 423억달러로 조사됐다.

글로벌 VC 핀테크 투자건수와 규모 (제공=KPMG)
글로벌 VC 핀테크 투자건수와 규모 (제공=KPMG)

지난해 하반기 미국 주식거래 플랫폼인 로빈후드가 13억달러의 VC 투자를 유치한데 이어 스웨덴의 클라라(6억5000만달러), 영국의 레볼루트(5억8000만달러), 미국의 차임(5억3000만달러) 등도 높은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기업의 핀테크 투자(210억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전자결제 솔루션과 비대면 은행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대와 기업의 디지털전환(DT)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후기단계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이유로 봤다.

지난해 하반기 핀테크 산업의 인수합병(M&A) 규모는 5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해 상반기(109억달러)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찰스 슈왑의 TD아메리트레이드 인수(220억달러), 인튜잇의 크레딧카르마 인수(71억달러) 등 상위 10개 M&A거래 중 9개가 미국에서 이뤄졌다.

특히 동기간 미국(넥스트보험, 체인널리시스, 베러닷컴, 포터 등)과 중국(워터드롭), 캐나다(웰스심플), 인도(레이저페이), 네덜란드(몰리), 브라질(크리디타스) 등에서 핀테크 유니콘기업이 나왔고 사우디아라비아(STC페이)와 우루과이(d로컬)에서도 첫 번째 핀테크 유니콘이 탄생했다.

아태지역에서의 핀테크 투자는 116억달러로 2014년 이후 6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는 팬데믹으로 인해 동남아 중심의 이미징시장에서 초기단계 기업이 자금조달에 고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동일 지역에서 주목받는 핀테크 분야는 지급결제(Payments)로 꼽혔다. 지난해 상반기 인도네시아의 고젝(30억달러)과 싱가포르의 그랩(8억9000만달러)의 대규모 투자유치에 이어 미국 WEX의 호주 B2B 결제회사 eNet 인수(7억7700만달러)도 성사됐다.

이외에도 호주 디지털은행 유도뱅크(Judo Bank)와 국내 기업인 토스가 각각 2억900만달러, 1억4700만달러 투자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집계됐다.

KPMG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세계적으로 핀테크 분야 거래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대규모 지급결제 기업이 글로벌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대규모 M&A거래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됐고 신흥시장을 중점적으로 지급결제 분야에 대한 투자 관심도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지난해 진행된 테크 분야 유니콘 기업의 성공적인 기업공개(IPO)를 비춰볼 때 올해 다수의 핀테크 유니콘기업의 IPO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디지털 기능을 가속화하는 기업들로 인해 핀테크 관련 M&A가 크게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원장기술의 진화,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가상자산이 메인스트림(Mainstream)으로 부상할 가능성도 높다고 내다봤다.

삼정KPMG 핀테크 리더인 조재박 전무는 “2021년에는 고객 접점에서의 편리하고 간편한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더 높아지면서 임베디드 금융 활성화, 지불결제의 합종연횡 외에 웰스테크, 거래 매개체로의 가상자산, 사이버보안과 레크테크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