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수 의원 "금융산업정책의 기재부 이관, 금융감독기능은 총리실 산하 금융감독위원회로 통합해야"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대해 "정부조직 개편과 함께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정감사 3일차인 12일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계양구갑)은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 대상 국정감사에서 은성수 금융위원장에게 금융감독 체계 개편 필요성에 대해 질의했다.
유 의원은 "금융감독 체계는 정책기능과 감독·집행 기능이 분리돼 있어 신속 대응이 떨어지고 있다"면서 "최근 발생한 판매 중단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금융당국 대처를 확인해보면 금융위와 금감원 간 엇박자를 확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우리나라의 금융감독체계는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독특한 구조"라며 "국내 금융산업정책과 금융감독을 금융위원회가 담당하고 금융감독 부분에서도 감독정책은 금융위원회, 감독집행은 금융감독원이 담당토록 하고 있다"고 현 체제를 설명했다.
이어 "금융위원회가 양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는 관계로 성과가 눈에 보이는 금융산업정책에 치우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과 함께 "금융위원회의 금융산업 정책을 기획재정부로 옮기고 금융감독 기능은 총리실 산하에 금융감독위원회를 두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문했다. 이에 은성수 위원장은 "정부조직 개편과 같이 해서 큰 틀에서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관련기사
- 예탁결제원, 옵티머스 사태 재발 방지 시스템 구축 착수
- 디지털금융으로 촉발된 '은행권' 위기...빅테크로 '금융빅뱅' 눈앞
- 또다시 사모펀드 환매중단
- '불완전판매' 우려 무(저)해지 환급금 보험상품, 표준형 보험 환급률 이내로 설계 제한
- [국감2020] 데이터바우처 지원 사업 70%, 수도권 기업…편중 심화
- [국감2020] 과기부 R&D 자체평가 유명무실…상위평가시 3등급 하락도
- 금감원, ‘손해 미확정’ 라임 펀드 추정 손해액으로 분쟁조정 추진
- 금융위 “증권시장 건전한 발전 위한 ‘불법‧불건전행위 근절 종합대책’ 추진”
- 오픈뱅킹, 12월부터 상호금융·저축은행 등으로 확대
- 은성수 금융위원장 "코로나 시대 금융, 혁신 통한 소비자 편의-시장 안정에 집중해야“
윤수은 기자
wai4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