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러 기업과 이미 협업", 이번엔 '딥시크에 대한 대응'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지난 4일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크래프톤 등 주요 IT 기업들과 회의를 진행하며 향후 AI 생태계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번 방한은 단순히 한국 시장을 탐색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특히, 최근 급부상한 중국의 오픈소스 AI 기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과 이에 대한 오픈AI의 대응 전략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과의 협력, 오픈AI의 파트너십 확대
샘 올트먼의 방한 일정 중 특히 주목받는 부분은 카카오와의 협력 논의다. 카카오는 자체 AI 모델 개발보다는, 외부 AI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시장에서 빠르게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번 협업 발표가 예상된 결과라는 평가가 많다. 오픈AI와 이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들이 많은 가운데, 카카오가 처음으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는 점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다.
오픈AI의 생성형 AI 기술을 카카오의 AI 비서 서비스인 '카나나'에 적용할 계획을 밝혔다. 이는 카카오의 AI 서비스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AI의 유료 서비스를 카카오는 사용할 계획이지만, 그 기술이 얼마나 뛰어난지와는 상관없이, 소비자들이 어떻게 서비스를 경험하고 받아들일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오픈AI가 한국 시장을 공략하고 싶어서 카카오와 협력을 구축하고 존재감을 키워나가는 계기로 삼은 것 같다"는 해석도 있다.
이같은 시각에도 불구하고,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중요한 전략적 포지셔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카카오는 딥시크의 AI 모델을 자사 업무에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오픈AI와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샘 올트먼은 한국 일정을 마무리한 후 인도 뉴델리로 이동한다. 오픈AI는 글로벌 AI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각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각국의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번 방한을 통해 오픈AI는 한국 시장에서도 그 존재감을 확립하고, 향후 더 많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러한 협력의 확대가 AI 산업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카카오 협업, 오픈소스 기반 전략 일환?
딥시크가 최근 오픈소스 기반의 AI 모델 'R1'을 발표하면서 오픈AI도 심각한 전략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카카오와의 협업도 그런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앞서 샘 올트먼은 최근 레딧에서 열린 AMA(Ask Me Anything) 세션에서 "우리는 오픈소스 문제에서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고 언급하며, 오픈AI가 그동안 채택한 폐쇄형 모델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했다.
그는 "이제 오픈소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이며, AI 시장의 빠른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예상보다 가속화되면서, 독점 모델만으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