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채굴 행위 금지…채굴업체들, 카자흐스탄ㆍ러시아ㆍ미국 등으로 ‘탈출’

중국 당국이 비트코인 채굴을 금지하고, 암호화폐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중국 내 암호화폐 채굴업체들의 해외로의 이전이나 도피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일부 외신은 이를 두고 중국 암호화폐 업계의 ‘엑소더스’라고까지 표현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5월 21일 류허 부총리 주재로 열린 중국 국무원 금융발전위원회 회의에서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 단속’ 발언이 나온 후 중국 당국의 비트코인 채굴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제공=픽서베이)
(제공=픽서베이)

특히 중국 내에서 가장 암호화폐 채굴이 활발한 내몽골 지방 정부는 아예 비트코인 채굴 금지를 포함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다. 또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윈남성(운남성)에서도 채굴 금지령이 내려졌다. 6월 들어선 역시 채굴이 활발한 쓰촨성까지 채굴업체 폐쇄 조치를 내리면서, 사실상 중국의 모든 주요 비트코인 채굴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5월 중국 최고위급 인사들은 암호화폐에 대한 단속을 재개할 것을 요구했다. 국가의 제한적인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년 동안 광부들을 방해받지 않고 내버려둔 후, 북부 내몽골과 쓰촨성과 같은 지역의 지방 정부들은 갑자기 비트코인을 만들어 내는 창고와 데이터 센터에서 흥얼거리는 전문 컴퓨터에 전원을 차단했다.

많은 광부들이 그들의 사업을 뿌리째 뽑거나 아예 포기했다. 데이터 추적업체인 Mining Pool Stats에 따르면 지난달 초부터 전 세계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총 컴퓨팅 성능이 약 60% 급감했다고 합니다.

이에 비트코인 채굴을 위한 연산처리 함수의 단위인 해시레이트가 급감하는 등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해시레이트가 감소한다는 것은 비트코인 채굴자들이 이탈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 과정에서 현재 중국 내의 암호화폐 채굴업체들 중 상당 수가 미국이나 러시아, 혹은 인근 국가인 카자흐스탄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를 가장 반기는 것은 미국 내 암호화폐 시장이다. 이미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선 이들 ‘중국 광부(채굴업체)’들의 미국 내 이전을 반기는 한편, 암호화폐에 긍정적인 일부 주 당국자들은 적극적으로 이들의 엑소더스를 부추기는 듯한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대규모 엑소더스까지 야기한 중국의 반암호화 움직임은 몇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우선은 에너지 절감 문제와 엮여있다. 즉 시진핑 주석이 나름의 기후 목표를 세우면서 비트코인 채굴에 들어가는 막대한 전력 소비량을 경계하고 있다.

그 보다 더 근본적인 이유는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금융 권력에 대한 암호화폐 시장의 도전을 문제삼은 것이다. 즉 암호화폐의 부상에 대해 중국 정부는 자신들이 고수하고 있는 금융 안정에 대한 도전으로 이를 받아들이고 있다.

더욱이 비트코인이 법정화혜를 대신해 실물경제의 거래 수단으로 전환되는 사태에 극도의 경계심을 보인 것이다.

그간 중국 부유층은 당국에 노출되지 않고 해외에 거액을 송금할 때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를 활용했다. 그러나 더 이상 자국 내에서 암호화폐를 활용할 수 없게 되면 세계 비트코인 수요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그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채굴장을 전면 폐쇄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6월 들어 줄곧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 당국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암호화폐 거래뿐 아니라 채굴까지 몰아내겠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또 금융권과 알리페이 등 지급결제 기관을 통한 암호화폐 거래 행위도 대대적으로 단속하고 나섰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내몽골이나 위구르 자치구 등의 암호화폐 업체들은 우선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근 카자흐스탄이나 러시아로 ‘근거지’를 옮겨가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하고 있다.

그럼에도 엘살바도르 등 일부 국가가 암호화폐를 법정 화폐로 지정하는 등 정반대의 케이스도 줄을 잇고 있어, 암호화폐의 운명은 앞으로도 매우 가변적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