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수출 165.6억불, 수입 103.8억불로 61.8억불 흑자 기조 지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이 165억6000만달러, 수입액이 103억8000만달러, 무역수지는 61억8000만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8% 늘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고, 하루 평균 수출액도 7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6억1000만달러보다 18.3% 증가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디스플레이가 27.7%, 휴대전화 24.9%, 반도체에서 16.1% 수출이 늘었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7.3%↑) 및 시스템(39.2%↑)반도체 모두 호조세를 유지하며, 5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스템반도체의 경우 지난 1996년 이후 월간 최고 수출액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LCD) 단가 상승, 모바일 수요 확대 등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부분품 증가하면서 수출이 늘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보조기억장치(7.3%↑)를 중심으로 14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했다.
휴대폰은 완제품(20.9%↑)·부분품(26.9%↑)이 동시 증가하며, 4개월 만에 수출 증가로 전환됐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증가요인으로 중국(부분품, 103%↑), 미국(완제품, 31.2%↑) 등지에서의 수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주요 지역별로는 중국(8.1%↑), 베트남(35.2%↑), 유럽연합(24.9%↑), 미국(19.4%↑)으로의 수출이 늘었지만 일본(13.8%↓)에서는 줄었다.
중소·중견 기업의 ICT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1% 오른 41억 달러였다. 품목별로는 반도체(34.6%↑), 전기장비(6.7%↑) 등의 수출이 증가했고, 컴퓨터·주변기기(13.1%↓) 수출은 감소했다.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7.1% 올라 16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기장비(6.3%↑), 접속부품(23.2%↑), 인쇄회로기판(PCB·69.9%↑) 등 수출이 늘었다.
한편, ICT 수입액은 103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24.2%↑), 휴대폰(0.4%↑), 컴퓨터·주변기기(8.4%↑)는 증가했고, 디스플레이(17.6%↓) 부문 수입은 줄었다.
국가별로는 대만(23.3%↑), 일본(17.3%↑), 유럽연합(2.5%↑) 등에서의 수입이 늘었고 중국(3.9%↓), 베트남(22.3%↓), 미국(5.4%↓) 등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했다.
관련기사
- 2021년 국내 ICT산업 ‘호황’…‘글로벌 반도체 시장 성장 덕분’
- “내년 반도체 중심 ICT산업 호황 진입… 건설업 침체 지속”
- 정부 “ICT기업 해외진출 길 연다”…‘K-글로벌@실리콘밸리’ 개최
- 5년간 지역혁신 중소기업 100개 키운다…일자리 8만개 창출
- ETRI, ICT로 스마트 자주국방 앞장
- ICT 수출, 전년 동월대비 5개월 연속 증가 '62억불' 흑자
- 골드만삭스 “내년 한국 GDP 성장률 3.6%, 코스피 2800 전망”
- IT 소재‧장비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 견조한 주가 기대”
- 지난해 기술무역규모 316억 '전년대비 10.1% 증가'
- 내년 바이오 핵심 원천기술개발 5200억 투자…24.9%↑
- 갤럭시 S21 공개, ‘울트라 판매↑, 휴대폰부품 수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