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인덱스 ‘식료품 업종 앱 사용자 현황’ 데이터 분석
‘마켓컬리’ 1년새 2배 성장…1위 ‘이마트몰’ 바짝 추격
코로나19 장기화로 외출에 제약이 생기자 모바일 앱을 통해 장을 보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새벽배송 및 간편식 열풍으로 신선식품과 간편식 앱이 전통강자 마트 앱을 위협하고 있으며 식료품 앱 시장의 업계 지형도가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자사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를 통해 ‘식료품 앱 시장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기간은 2019년 1월1일부터 2020년 9월30일까지로 일평균 3500만 모바일 기기의 17억건 데이터(국내 안드로이드OS 데이터 기준)를 AI 알고리즘에 기반해 분석했다.
모바일인덱스 분석에 따르면 마트, 신선식품, 간편식 전체를 아우르는 식료품 업종 모바일 앱 9월 사용자수는 399만8684명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한 수치다.
코로나19 수도권 확산세가 증가한 4월 식료품 앱 월 사용자수(MAU)는 사상 최대치인 407만4093명을 기록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였던 9월 들어 다시 400만명에 육박하는 사용자가 식료품을 구매하기 위해 모바일 앱에 방문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료품 앱 시장의 성장을 견인한 1등 공신은 ‘신선식품’과 ‘간편식’ 앱이었다. 9월 기준 신선식품 앱 사용자수는 214만856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 늘었고 간편식 앱 사용자수는 64만7715 명을 기록하며 지난해 보다 12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선식품 앱 대표주자 ‘마켓컬리’의 9월 사용자수는 119만6736명을 기록했고 작년 동기(63만8389명) 대비 2배 가량 이용자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식료품 앱 시장 2위를 차지한 ‘마켓컬리’는 1위 ‘이마트몰’을 바짝 추격하고 있으며 9월 기준 ‘이마트몰’의 월 사용자수는 123만2752명으로 같은 기간 ‘마켓컬리’의 사용자수와 3만6016 명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간편식 앱 시장 역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대표 간편식 앱 ‘CJ더마켓’의 9월 사용자수는 21만6530명으로 1년새 2.6배 증가했으며 ‘쿠캣마켓’도 같은 기간 2.6배, ‘랭킹닭컴’ 1.8배 증가했다.
9월 기준 식료품 앱 사용자는 여성이 73%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남성 사용자 비율은 27%를 기록, 지난해 대비 5%p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3040세대가 식료품 업종 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1295만명에 달하는 배달 앱 전체 사용자 중 23%가 식료품 앱을 중복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업종간 중복 사용률은 2019년 1월 기준 15%에서 2020년 9월 23%로 8%p 증가했다.
모바일인덱스 분석 결과 식료품 앱 사용자들은 유아동의류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동의류 카테고리 사용자 중 53%는 식료품 업종 사용자인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 1인당 모바일 데이터 소비량 급증... "AR/VR에 더욱 필요할 5G"
- 대한민국, 유튜브에 빠지다…전체 인구 83%, 한달에 17일‧30시간 시청
- “모바일 패션시장 1천만 시대, 국민 20% 모바일로 의류 쇼핑한다”
- ‘NO재팬’ 불매운동 여파 ‘탑텐’, 모바일서 ‘유니클로’ 제쳤다
- 모바일 협업툴 시장 ‘531%’ 성장…‘줌(Zoom)’, 압도적 1위
- 이마트24, 올 말까지 전국 3000점에 와인 O2O 서비스 도입
- 음원 서비스 앱, 1위 ‘멜론’ 주춤…‘지니뮤직‧플로‧유튜브뮤직’ 맹추격
- 대한항공-아시아나 ‘항공 빅딜’…모바일 점유율 66.8% 이루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