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소비패턴 변화가 생활가전, TV에 집중
KB증권은 12일 코로나19 이후 재택시간 증가와 함께 소비패턴의 변화가 생활가전, TV에 집중되고, 이 같은 글로벌 가전 수요강세가 내년까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에 최선호주로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제시했다.
지난 10월 9일(현지시간) 월풀(Whirlpool, WHR) 주가는 전일대비 0.6% 오른 201.4달러로 마감되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월풀 주가는 3월 연중 저점(64달러) 대비 +215% 급등하며 3배 이상 상승했다. 한편 지난 8일 LG전자 주가도 9만3300원을 기록하며 52주 신고가(10월 7일 9만6100원)에 근접했다.
KB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LG전자와 월풀 주가를 3월 연중 저점 대비 상승률 기준으로 비교할 때 LG전자 주가 상승률은 미국 월풀 주가 상승의 절반 수준(57%)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월풀 대비 TV, 전장부품 등 다변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LG전자의 주가 상승 여력이 향후에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LG전자, 월풀 등 글로벌 가전업체 주가 강세 요인은 코로나19 이후 새롭게 나타난 소비패턴 변화 즉 가전, TV 중심의 내구재 구매 집중 현상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더욱이 ▲ 코로나19로 인한 바이러스 예방 인식 증가로 스팀 살균 기능이 강화된 가전(의류관리기, 식기세척기, 공기청정기, 건조기 등) 매출이 전년대비 3배 증가하고 ▲ 3분기 TV 출하량이 재택시간 증가, 온라인 교육 확대 등의 영향으로 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이 같은 글로벌 가전 수요강세는 코로나19에 따른 재택시간 증가 및 교체수요와 맞물리며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관련 업체의 실적 개선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기사
- KB증권, “삼성전자, 내년 분기 평균 이익 11조원 예상”
- LG전자 “울트라기어 앞세워 게이밍 모니터 수요 잡는다”
- “LG 디오스 식기세척기, 관절‧근육 피로‧통증 예방에 도움”
- “집에서 누리던 편리함이 차 안으로 이어진다”
- LG전자, 스마트팩토리‧디지털 전환 ‘순항’…협력사 제조경쟁력 강화
- 글로벌 TV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 인구 11억명... 삼성이 앞서나가
- 맥도날드,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 기반 친환경 디지털 매장 구축
- 내년 기술산업 트렌드... “삼성 주도 D램, EUV 시대 본격 진입”
- 삼성전자, 올 하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과제 선정
- 삼성전자, 8K로 찍고 8K로 보는 영화 ‘언택트’ 공개
- 삼성전자, 배당 추가 증가 가능성 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