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민생경제 종합대책' 12조4000억 조속 집행 관건...스마트 상점 10만 개·스마트 공방 1만 개 공급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방안‘을 논의하면서 "전통시장, 상점 등의 디지털화를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이번 4차 추경안의 가장 핵심중 하나는 추경규모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매출 급감 소상공인 등에 대한 긴급지원(소상공인 새희망자금 등 3조 8천억원)”이라면서 “먼저, 전통시장·상점 등 소상공인 일터의 디지털화를 빠르게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5년까지 온라인 배달체계 등을 갖춘 디지털 전통시장 500곳, 로봇 등을 도입한 스마트 상점 10만개, 스마트 공방 1만개를 만들 계획이다. 2022년까지 이들이 집적되어 있는 디지털 상권 르네상스 시범사업도 3곳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장 디지털화에 4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과 2000억원대 특례 보증을 지원하고, 간편결제를 확대해 결제수수료 부담을 현재 2~4%에서 1%대로 낮추기로 했다.
아울러 소상공인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생태계 조성도 다각도로 지원한다. 중장년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현장실습 교육을 2025년까지 5만명 목표로 추진하고, 상생협력기금(2023년까지 400억원)을 조성하여 소상공인에 키오스크 및 디지털 결제 단말기 20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정부 지원, 누가 얼마씩 받나
- 원금보장, 뉴딜펀드 나온다...관건은 프로젝트 발굴
- 홍남기 부총리 "산업지능화펀드 조성, 디지털기업에 5년간 4천억 투자“
- OECD,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0.8%로 상향 조정
- 서울중기청, 소상공인 디지털·온라인화 위해 6개 사업 756억원 지원
- "전기차 배터리 전문 기업 육성"…LG화학, 배터리 부분 분사 결의
- 홍남기 부총리, "역내 경제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3국간 협력 강화"
- 홍남기 부총리 "농어촌 빈집숙박 상생안 마련... 5개 이내 시·군, 총 50채·연 300일 이내 실시"
-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24일부터 신청... 25일부터 지급
- 정부, 11월1일부터 2주간 '코리아 세일 페스타' 개최
- 홍남기 부총리 “소부장 기술수준, 선진국 대비 85%로 높일 것”
윤수은 기자
wai4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