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로보월드’에도 다양한 기술과 기능의 협동로봇 등장
특정 동작 기술에 집중, ‘협동로봇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다용도, 다양한 역할 필요한 현장 수요 감안, ‘맞춤형’ 등 필요
일각에선 “피지컬AI, AI에이전트와의 융합 필수” 주장도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협동로봇은 국내 로보틱스 산업의 주류가 되고 있다. 작업자들을 보조하거나,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협동로봇으로 대체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협동로봇의 성장은 현재 모습으론 곧 한계에 처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번 ‘로보월드’에서도 금세 확인할 수 있듯이, 국내 협동로봇들은 일단 미세한 그립 기술, 하중을 견디며 들어올리는 기능, 운반과 이동, 물건 옮기기 등 다양한 기능으로 진화하고 있다. 문제는 특정 용도에만 국한된 협소한 쓰임새가 대부분이란 점이다.
단기간의 단순 반복작업에 투입하기도
한 두어 가지의 단순 반복 작업을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보니, 제조업체 작업장이나 공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용도에 적응할 수가 없다. 이는 특정 동작 기술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혐동로봇의 한계일 수도 있다.
이번 ‘로보월드’에선 심지어 ‘휴머노이드’를 표방한 협동로봇들도 다수 등장했다. 그중엔 음성기능과 간단한 대화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정해진 용도의 반복작업에 국한되어 있는게 대부분이다.
이에 업계 전문가들은 “이런 협소한 기능의 협동로봇을 뛰어넘는 기술로 발전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로보월드’에 참가한 한국로봇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이미 AI에이전트나 어시스턴트, 나아가선 ‘피지컬AI’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로봇 기술 역시 말 그대로 인간을 보조할 수 있는 다용도의 어시스턴트 기술이나 피지컬AI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시장 수요 적극 고려, 맞춤형 등 필요”
특히 “시장의 수요를 적극 고려해 이에 맞는 기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많다. 작업 현장에서 과연 협동로봇을 도입해 다양한 작업 공정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가가 변수란 얘기다. 특정한 반복작업만 오래도록 수행하는데엔 문제가 없다.
그러나 공정상 반복작업은 납품 일정에 맞춘 단기간에 그치는 경우도 많다. 물론 “자동차 제조나 대형 제조업체이 부품 조립 등과 같이 공정상 필수인 반복작업엔 효율적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단기간 반복작업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대규모 공정의 컨베이어 방식에선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조립과 포장, 레이아웃, 이동과 상차 등 다양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중소 규모 작업장에선 사정이 달라진다. 웬만한 중견 직원 연봉보다 비싼 가격의 로봇을 그런 목적만으로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업체들은 회의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이번 ‘로보월드’에선 비록 특정 단일 용도이긴 하지만, 나름의 차별화된 성능과 기능을 개발, 선보인 업체가 적지 않다.
눈에 띄는 ‘로보월드’ 출품 기술과 기능
그 중 A사의 경우는 동작 스위치를 활용, 간단한 티칭 모드나 좌표 저장기능으로 작동시키는 방식도 있다. 직관적인 UI의 드랙&드롭 방식으로 초보자도 간편하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서, 일정 범위내에서 맞춤형 작업을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산업용 장비나 시스템들과 인터페이스가 되도록 한 제품도 있다.
B사는 나름대로 고도의 제어 기술을 갖춘 로봇도 출시했다. 이를 통해 충돌 감지, 컴플라이언스 제어, 그리고 안전 제어 기능, 기술적 역할 제어, 작업 명령 식별, 경로 변경 등의 기능을 갖추기도 했다.
특히 그중엔 AI와 융합, 딥러닝 비전 솔루션을 통한 영상 작업 명령을 하기도 한다. 모방 학습 기능이나 AI 기반 충돌 회피, 모션 최적화 기능, 음성 명령 기능 등도 갖추고 있다.
해당 업체는 “로봇 전문인력도 없는 고객도 부담없이 로봇 자동화를 도입, 운영할 수 있도록 협동로봇 중심의 RaaS(Robot as a Service)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협동로봇의 일부 문제점과 한계가 지적되면서, 이에 대응해 다각화된 용도로 로봇을 출시하는 경우도 많다.
C사는 협동로봇 절곡 시스템을 비롯해 수동 레이저 용접기 등 다양한 기능의 로봇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또 협동로봇 연동 및 업데이트 기능, 모바일 키트형 협동로봇 절곡 시스템, 레이저 용접 솔루션 등을 갖추고 있다.
이 밖에도 이번 ‘로보월드’엔 10가지 유형으로 다용도화할 수 있는 협동로봇이나, 기능에 따라 각지 역할이 구분된 협동로봇 시리즈 제품 등이 다수 출품되었다.
그럼에도 앞서 지적된 한계 탓인지 현재 국내 협동로봇 보급률은 2025년 기준 약 1% 내외로, 전체 산업용 로봇 시장의 1%대에 불과한 수준이다. 2017년 국내 협동로봇 시장 판매 대수는 550대였으며, 2025년에는 22,861대까지 연평균 56.96% 성장이 예상된다.
2025년 전체 산업용 로봇(약 25,000대)에 비한 협동로봇 보급률은 약 9%로, 실제 설치·운영되는 협동로봇은 전체의 1% 내외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비해 2023년 글로벌 협동로봇 보급률은 산업용 로봇의 10.5%에 달한다. 국내는 그 만큼 협동로봇 보급률이 낮다는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