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특화망 레드캡 실증 완료…MWC25에서 공개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가 삼성전자와 협력해 제조 현장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한다. 5G 특화망 기술을 활용해 공장 내 무선 통신 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대차는 삼성전자와 함께 ‘5G 특화망 레드캡(RedCap)’ 기술 실증을 마쳤으며, 이를 3월 3일부터 스페인에서 열리는 ‘MWC25 바르셀로나’에서 선보일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현대차는 삼성전자의 전용 기지국과 통합관리시스템을 활용해 공장 내 설비 간 원활한 통신 성능을 점검했다. 테스트는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에서 진행됐으며, 현대차가 설계한 완성차 검사 단말기를 적용해 공장 내 장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검증했다.
5G 특화망은 특정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전용 통신망으로, 외부 간섭 없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현대차는 이번 실증을 통해 기존 공장에서 사용하던 와이파이보다 빠르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은 기존 5G 대비 단말 구성이 간소화되고, 특화망 장비도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의 특성을 고려해 주파수 대역폭을 최적화함으로써 저전력·저사양 환경에서도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현대차는 이 기술을 통해 차량 검사 장비, 무선 공구, 카메라,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제조 장비를 끊김 없이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5G 특화망이 자동물류로봇(AGV, AMR)과 같은 고성능 장비에 한정적으로 적용됐지만, 레드캡 기술 도입으로 더 다양한 장비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는 이번 실증 과정에서 완성차 무인 자율검사 장비 ‘D Scan’에 퀄컴의 SDX35 칩셋을 탑재하고, 삼성전자의 5G 특화망 인프라와 연동해 차량 품질검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검사 속도를 높이고, 품질 관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의 5G 특화망 솔루션은 최신 3GPP 표준을 적용해 공장 내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했으며, 업로드 비중을 기존 5G 대비 2배 이상 확대해 IoT 단말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현대차와 삼성전자는 ‘MWC25 바르셀로나’에서 공동 전시를 통해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을 공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들과 주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실증 결과와 양산 공정 적용 가능성을 소개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스마트 제조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네트워크 사업자들과 협력을 확대해 제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국내에서는 의왕연구소와 울산3공장에서 5G 특화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도 최적화된 5G 특화망을 구축해 공장 운영을 효율화하고 있다.
울산3공장과 HMGMA에 도입된 5G 특화망은 통신 단절 문제를 해결하고, 연간 약 10억 원의 통신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었다. 현대차는 향후 울산 EV 전용 공장에도 5G 특화망을 도입할 계획이며, 이번 실증을 통해 레드캡 기술의 양산성을 확보해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업체 최초로 5G 특화망을 구축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번 레드캡 기술 실증을 계기로 제조 현장의 무선통신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