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등 딥시크, 등 적극 도입, 중국 칩 제조사도 새로운 기회
MoE 등으로 비용 절감, 성능 향상으로 AI 기술 경쟁력 강화
서방언론 "그러나 엔비디아 칩 독보적, 中 AI기술 당장 美따라잡긴 힘들것"

(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딥시크(DeepSeek)의 출현은 미중 간 AI경쟁의 판도를 크게 바꿀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화웨이와 같은 중국 칩 제조업체들이 딥시크 기술을 자사의 기술 시스템에 적그 수혈함으로써 기술 자립과 함께 미국에 대항할 수 있는 기술력을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AI 분야에서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며,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을 따라잡을 기술 강국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한층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딥시크, 저비용 AI 모델로 효율성 극대화

이같은 로이터통신의 보도는 딥시크를 계기로 AI기술면에서 한층 미국과의 간격을 좁힐 가능성에 대한 미국 등 서방 세계의 긴장감이 배어있는 대목으로 해석된다.

로이터는 "딥시크는 기존의 고성능 AI 모델보다 비용 효율적인 기술을 제공하며, 중국의 AI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면서 "화웨이, 텐센트, 푸젠 하이곤과 같은 대형 중국 기업들이 딥시크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AI 기술을 빠르게 상용화하고 있다."고 주목했다.

실제로 화웨이는 딥시크의 AI 모델을 자사 제품에 통합함으로써, AI 기반 서비스를 대폭 강화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의 첨단 기술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면서, 중국 기업들이 자국 기술을 통한 독자적인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AI 혁신 센터 설립과 국가 차원의 R&D 프로젝트를 통해 자국의 AI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있으며, 딥시크와 같은 모델을 통해 AI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덕분에, 중국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AI 모델을 빠르게 채택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AI 서비스의 스마트화와 자동화를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딥시크의 AI 모델은 고성능 칩을 대체할 수 있는 추론(inference)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적은 자원으로도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이 기술은 특히 저비용으로 고성능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중국의 AI 시장에서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다. 딥시크는 오픈소스로 AI 모델을 제공하며, 다양한 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고성능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실현하여,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이엔드 칩에 의존하지 않고도 고성능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기업들이 AI 기술을 빠르게 상용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국 기업들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화를 촉진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엔비디아, 여전히 AI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실현되기까지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엔비디아의 GPU가 여전히 가장 경쟁력 있는 선택지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엔비디아는 “딥시크와 같은 추론 모델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사의 칩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테크크런치 등 기술매체와 전문가 집단은 "추론의 핵심인 GPU 부문에서 엔비디아 기술을 따라잡는데 한계가 있고, 실리콘밸리도 딥시크가 채택한 MoE(Mixture of Experts) 나, BTX(Brain Train Mix) 등 이노베이션을 가속화하고 있어 추격이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서방언론과 전문가들의 자신감이 배어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또하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는 여전히 많은 AI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기업들이 복잡한 AI 연산을 처리할 때 가장 선호하는 제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딥시크의 기술은 중국 AI 산업의 도약에 큰 밑돌이 될 것이란 기대도 낳고 있다. 미치는 영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중국은 이제 AI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술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는게 중론이다

서방세계의 시각을 담고 있는 로이터 통신 역시 "딥시크와 같은 혁신적인 AI 모델은 그 성장의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경쟁은 앞으로도 치열할 것이며, AI와 반도체 기술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해서 세계 경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 것도 그 때문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