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한국지능정보원,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PUB' 개최
‘PaaS' 중요성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발전, AI 시스템 통합 관리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PUB 2025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PUB 2025

[애플경제 정한빈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18일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PUB 2025’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클라우드 기반 기술 혁신과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발전을 위한 전략과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PaaS(Platform as a Service)’의 중요성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발전, AI 시스템 통합 관리 방안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 CNCF 디렉터 Keith Chan이 “Cloud Native: AI in China”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통해 중국 내 AI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융합 현황을 소개했다. 이어 NIA 황동성 원장의 개회사와 OPA 김홍진 의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K-PaaS 공모전 시상식과 인증서 수여식이 진행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K-PaaS, Next generation'이라는 주제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발표가 이어졌다. 메가존 김형석 이사는 로보틱스 분야에서 쿠버네티스와 AI의 활용에 대해 소개했다. ETRI 강동재 실장은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아콘소프트의 하이브리드-엣지 클라우드, VESSL AI의 MLOps, 올리브 웍스의 DevSecOps를 통한 클라우드 보안 등 다양한 클라우드 주제를 다루는 발표를 통해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K-PaaS, PlugFest 2025'를 주제로 K-PaaS 플랫폼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소개됐다. 숭실대학교 최종석 교수는 신뢰할 수 있는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 방안을 제시했으며 K-PaaS 센터 이민규 PL은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트래픽 폭주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또한 두드림시스템 이승윤 팀장은 클라우드 장애를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 지속형 멀티 클라우드 시스템을 제안했다. 한국폴리텍대학교 이협건 교수는 실시간 하이브리드 기반 클라우드를 통한 효율적인 클라우드 운영 시스템을 소개했다. 다양한 기업들이 K-PaaS 활용 사례를 발표하며 참가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행사의 마지막 세션은 ‘K-PaaS Together’로 진행됐다. 이 세션에서는 SM 엔터테인먼트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 적용 사례를 통해 문화 산업과 클라우드 기술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사례를 통해 클라우드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다양한 클라우드 플랫폼이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AI 및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면서 기업과 공공기관의 기술 혁신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쿠버네티스와 K-PaaS의 발전은 산업 전반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K-PaaS 플랫폼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AI와의 융합을 통해 더욱 강력한 시스템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산업 간 협력을 통해 국내 클라우드 산업이 더욱 성장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