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MAU 1위·1335만명… "금융플랫폼으로 성장 잠재력 보유, 광고 등으로 확대"
공모자금 2조5526억원... 자본 적정성 확보ㆍ소비자 편익 증대ㆍ기술 R&D와 M&A에 투자
“카카오뱅크는 혁신적인 기술, 강력한 플랫폼 파워, 카카오 에코시스템 등을 적극 활용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금융 경험을 선사하며 은행을 넘어 금융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기업이 되겠습니다"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이사는 20일 ‘IPO PRESS TALK’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만 은행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카카오뱅크는 1615만명의 고객과 1년 반만의 흑자 전환 등을 통해 그 가능성을 증명했다"며 "상장 후 카카오뱅크는 대규모 자본을 기반으로 더 진화한 모습을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는 기업공개를 통해 6545만주의 신주를 발행한다.1주당 희망 공모가는 3만3000원부터 3만9000원 사이로, 최대 약 2조 5526억원의 자금을 확보한다. 공모가 확정은 22일이며 청약일은 26일과 27일이다. 국내 일반 청약자들은 KB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현대차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상장 예정일은 다음달 6일이다.
2017년 7월 27일에 대고객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뱅크는 모바일 완결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과 차별화한 상품·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 경제활동 인구 대비 57%인 1615만명이 사용하는 모바일은행이자 금융 모바일앱 부문에서 MAU 1335만명(닐슨미디어 디지털 데이터 기준)으로 1위에 올라 있다.
카카오뱅크의 이용자 증가와 높은 활동성은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카카오뱅크 계좌이체 금액은 79조 1000억원으로 전년동기 49조 3300억원 대비 160% 수준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이용 경험이 누적되면서 요구불예금 잔액 또한 증가 추세다. 이는 고객이 카카오뱅크를 주 거래계좌로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 지표라고 덧붙였다.
또한 10대 청소년과 50대 이상 이용자가 늘면서 카카오뱅크 이용자층이 전 연령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선보인 미니(mini) 서비스 영향으로 만 14~19세 인구 중 39%가 카카오뱅크 이용자로 나타났으며 카카오뱅크 전체 이용자에서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 9%에서 15%로 증가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향후 성장 지향점으로 “가장 많은 고객이 가장 많이 찾는 ▲No.1 리테일뱅크, ▲No.1 금융플랫폼”을 꼽고, 은행 상품과 서비스의 지속적인 디지털 혁신과 상품 경쟁력을 확대하여 “고객들이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지금의 신용카드·주식계좌·연계대출 등은 펀드, 보험, 자산관리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 e-커머스, 여행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된 금융상품과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진화한 금융 경험을 선보일 예정이다. 연령별로는 10대에서 60대 이상까지, 신용상태별로는 고신용부터 중저신용까지 아우르는 포용적 금융을 선보인다.
다음 달부터 중‧저신용 고객들을 위한 새로운 신용대출 상품을 선보이고, 개인사업자(SOHO) 대출 등 다양한 대출 상품도 내놓을 예정이다. 신용평가모형 개선도 지속한다. 휴대폰 소액결제정보 및 개인 사업자 매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고,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공동체와의 데이터 협력도 속도를 더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기술을 핵심 역량으로 삼고 100% 내재화한 개발 문화를 갖고 있다. 이를 통해 마이데이터 사업, 글로벌 시장 진출, B2B 솔루션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가능성을 찾아 카카오뱅크만의 방식으로 실행해 끊임없이 성장해 나갈 계획이다. 대규모 모바일 트래픽을 기반으로 광고 사업 등과 같은 플랫폼 기반 사업도 모색 중이다.
공모로 조달할 자금의 사용처도 카카오뱅크의 미래 방향성에 맞춰져 있다. 중저신용고객 대상 대출 확대 등을 위한 자본 적정성 확보를 비롯해 우수 인력 확보 및 고객 경험 혁신, 금융 소비자 편익 증대를 위한 운영자금으로 활용한다. 금융기술의 R&D, 핀테크 기업의 M&A, 글로벌 진출을 위한 투자에도 공모자금을 사용한다.
다음은 윤호영 대표와 기자단과의 질의응답:
Q. 카카오뱅크가 해외 핀테크 기업을 비교기업으로 선택한 이유는?
A. 저희는 출발점부터 ‘인터넷은행’이다. 카뱅은 금융과 IT가 만나야 되고, 금융의 혁신을 위해 일해야 되고, 또 모바일 기반의 비대면 영업이라는 특수성이 있다. 또, 영업이익구조나 수익성도 다르고, 높은 영업의 성장을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확대 등 이런 모든 것들이 국내 상장된 다른 은행 대비 차별점이라고 생각한다.
Q.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는 앞으로 어떻게 관계를 가져갈 것인지?
A.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는 둘 다 ‘넘버1 금융플랫폼’이라는 목표를 위해 경쟁과 협업 속에서 성장해왔다. 카뱅은 은행업 라이선스를 통해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며, 카페는 결제 라이센스로 플랫폼 사업자가 되겠단 목표가 있다. 누구 하나가 남의 시장을 뺏는 게 아니라 금융의 스탠더드를 모바일/유저 중심으로 바꾸는 데 두 플레이어들이 새로운 시장 형성과 가속화를 주도했다는 생각이다.
Q. 카카오뱅크는 대출이 비중이 크다. 플랫폼 비즈니스를 위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나?
A. 카카오뱅크의 태생적인 목표는 ‘리테일뱅크 넘버원’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리테일뱅크의 정의는 많은 고객이 더 자주, 많이 쓰게 하는 것이다. 더 많은 고객이 더 자주 쓰게 하려면 뱅킹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플랫폼 비즈니스도 같이 성장해야 만이 리테일뱅크 넘버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플레이어와 콘텐츠 확장뿐만 아니라 뱅킹 커머스 및 MAU 통한 고객에게 혜택을 드리는 광고 등 기존의 은행들이 하지 않은 새로운 영역 확장을 통해 노력할 것이다.
Q. 마이데이터 사업에 관해 한 말씀
A. 우리는 마이데이터를 ‘산업’으로 바라보고 공급자 입장에서의 비즈니스가 아닌 고객 중심으로 고객이 내 데이터를 바라보고 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갈 생각이다.
Q. 주담대는 100% 모바일/비대면이 힘들지 않나? 서비스 콘셉트는?
A. 주담대 서비스는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에 출시하려고 준비 중이다. 주위에서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하다’, ‘비용이 많이 들 것’ 등등의 의견이 있는데 카카오뱅크의 100% 모바일 여신 사례들을 생각해보면 쉽게 상상이 가리라 생각한다. 개인신용대출이 100% 모바일이 되는 것을 보고 단기간에 많은 고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또, 전월세보증금 담보대출도 우리가 2018년 시장 진출 전엔 모바일로 100% 구현한 곳이 없었다. 이 서비스 역시 굉장히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주담대도 지난 경험과 역량을 통해 100% 비대면 대출신청/실현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한편, 카카오뱅크 IPO에 대해 20일 KTB증권 김한이 연구원은 “실적추정은 뱅킹 사업 중심으로, 플랫폼 부문은 수익 발생 중이나 비이자이익은 아직 흑전 이전이다.
2025년 순이익 5841억원, ROE 9.5%로 추정하고 있다. 주된 성장동력은 주택담보대출이다.
현 426조원 규모 시장성장 연 5%, 출시 4년차 점유율 4%를 목표로 하여 상품 출시 후 2025년 잔액으로 19조 7000억원으로 추정한다”면서 “공모가는 25E PBR 2.4~ 2.8x로, ROE가 현 시중은행과 유사함을 감안 시 프리미엄이 다소 부여된 수준"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신규 출범 인터넷은행으로서의 높은 성장성, 플랫폼 사업 확장에 대한 기대가 있는데, 타당성에 있어 관건은 ▲시중은행 대비 높았던 성장의 재현 ▲여수신중심 은행업을 넘어 카카오 에코시스템을 활용한 금융플랫폼으로서의 발전이라고 판단한다"면서 "이를 위한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등 신상품의 출시 및 영업성과, 플랫폼 사업 확장 기대가 구체화되는 전략들이 확인될 때 밸류에이션이 재평가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유안타증권 고경범 연구원은 카카오뱅크 지수편입 이슈에 대해 "카카오뱅크의 주요지수 특례편입 가능성은 8월 IPO 준비 중인 크래프톤보다 다소 낮게 판단된다. 대형 IPO의 경험을 감안하여, 공모가 상단 형성을 기본으로 가정하고, 시초가 90%, 상장일 하한가가 결부되었을 때 수준에서 편입 가능성은 'Mid'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크래프톤과 차이는 시가총액 격차와 동사의 유동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보호예수 지분과 기관확약 예상분을 반영하면 22.1% 수준으로, 본 임계점을 지난 (상장 T+1일 하한가) 등에서는 MSCI 지수 특례편입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