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경연, ‘국민계정으로 살펴본 가계소비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 발표
의식주 비중 36.8%... 의류·신발 지출 비중, 1970년 이후 가장 낮아
지난해 가계의 소비지출 가운데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집에 들어간 지출 비중도 14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국민계정으로 살펴본 가계소비의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가계소비 중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엥겔계수가 2019년 11.4%에서 2020년 12.9%로 1.5%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20년 전인 2000년 13.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의 기본적 생계유지용 소비인 의식주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6.8%로, 2019년의 35.1%에서 1.7%포인트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5년 전인 2005년 37.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최근 코로나19발 경제위기가 발생하면서 다양한 원인으로 의식주 지출은 커지고 상대적으로 삶의 질과 관련된 지출 비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임대료와 수도광열 지출 비중을 나타내는 슈바베계수는 2019년 17.6%에서 2020년 18.7%로 1.1%포인트가 증가했는데, 이는 14년 전인 2006년 18.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가 함께 급등한 원인으로는 우선, 공통적으로 경제위기 국면에서 미래 불확실성 크게 확대되면서, 가계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발 경제 위기로 소득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나, 그 이상으로 소비 지출이 감소하고 있다. 소득 증가율은 2019년 1.7%에서 2020년에는 0.4%로 하락했다. 국내소비지출 증가율은 2019년에는 2.8%로 소득증가율을 상회하였으나, 2020년에는 –3.4%로 크게 위축되었다. 보고서는 “이는 미래 불확실성이 크게 작용하면서 소득 위축에 비해 과도한 소비 위축이 이루어져 평균소비성향이 하락(저축률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가계의 소비 행태 자체도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면서 필수 소비 비중인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식주 이외 소비 항목을 보면 오락, 스포츠 및 문화 소비 지출 비중은 2019년 7.4%에서 2020년 6.0%로 하락했으며, 같은 기간 교육비 지출도 5.5%에서 4.8%로 하락하였고, 음식점 및 숙박 지출도 10.5%에서 9.5%로 하락했다.
엥겔계수 급등은 최근 식료품 물가의 상승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물가 항목 중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2019년 0.0%에서 2020년 4.4%로 급증했다. 보고서는 “식료품 물가 상승의 원인은 2020년 농축수산물 가격의 급등과 식료품 수입 물가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2019년 –1.7%에서 2020년 6.7%로 증가했다”면서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글로벌 애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수입 물가의 증가세가 빨라지고 있어 향후 엥겔계수를 상승시키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슈바베계수 급등은 주택매매가격 상승과 이에 따르는 전월세 비용 상승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주택매매가격지수 증가율은 2017년 1.3%, 2018년 2.2%, 2019년 1.4%에서 2020년 3.8%로 급등했다. 주택전세가격지수 증가율도 2017년 1.0%, 2018년 –0.7%, 2019년 –2.0%에서 2020년 1.4%로 급등했다.
한편, 의류·신발 지출 비중은 2019년 6.1%에서 2020년 5.2%로 0.9%포인트나 하락했는데, 이는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20년에 들어 지출 비중이 급락한 것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면 경제 활동의 위축으로 의류와 신발 등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가계의 기본 생계비 부담을 완화하고 소비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정정책의 경기 안정화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일정 수준 이상의 방역을 유지하면서 체계적인 내수 진작책을 마련하고, 식탁 물가 안정을 위해 시장 수급 상황 개선에 주력하는 동시에 주택 공급 확대 및 저가 주택임대 시장 활성화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