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탁 서비스에 가상자산 개념 도입…암호화폐 지갑ㆍSTO 등 실용화

이른바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공인과 함께 규제를 강화한 ‘특금법’이 금년부터 시행되면서 국내 금융계에도 이른바 가상자산의 제도화와 현장 적용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금융기관들은 수탁 서비스에 가상자산 개념을 도입하거나 암호화폐 지갑, STO 등을 실용화하고 있다.

물론 소비자 보호나 지급 시스템 안전성 확보, 납세 준수 등 업권법과 거래법을 준비하는데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다. 그런 가운데 시중은행들과 포털사이트 등은 다양한 형태의 가상자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국민은행은 이미 지난해 8월 디지털자산수탁서비스를 준비한데 이어 새해 들어 관련된 관리서비스(KBDAC) 특허를 출원했다. 또 가상자산 관련 기술 및 투자업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디지털자산 보관관리 시스템과 관련규제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신사업 발굴, 생태계 조성 등에도 나서고 있다.

현재 국민은행은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컴플라이언스’, ‘STO자산 발행 검토’ 등을 통해 가상자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는 기관과 기업, 사업자 대상 커스터디 서비스다. 단, 경제적 가치를 지닌 증표인 선불전자지급 수단, 전자등록 주식이나 어음 등은 제외된다.

‘컴플라이언스’는 블록체인, 가상자산사업자 대상 은행 특화 서비스다. 이는 컴플아이언스와 정산 시스템 등을 위한 것이다.

국민은행은 또 스테이블 코인, 증권형 토큰(STO)를 발행할 계획이다. 자체 토큰을 발행하는 한편,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관련업체를 통해 가상자산지갑, 가상자산트레이딩, 암호화폐 운용 및 투자 등을 진행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이미 지난 2018년 이더리움 기반의 ‘디지털자산수탁’ 파일럿을 실행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개인키관리시스템(PKMS) 태양광발전 분야에 대한 시범 적용 등을 한 바 있다.

이 은행은 곧 암호화폐를 도입하고, 신용정보나 신원정보 수탁서비스 등에도 이를 적용할 것을 준비하고 있다.

NH농협도 법무법인 태평양, 헥슬란트 등과 특금법에 대응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오픈 API 기반의 커스터디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를 위해 기존 암호화례 거래소나, 디지털지갑 등암호자산 외 결제방식 도입, 게임, 콘텐츠 등 가상자산 보관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기관투자자 대상의 가상자산을 발행, 소각, 관리를 포함한 커스터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부산은행도 지역특화형 디지털 바우처를 지난해 4월 도입했고 내부 테스트 후 곧 출시할 예정이다. 또 부산은행 직접바우처인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교환, 정산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대페이, 비피앤솔루션, 코인플러그 등과 제휴, 결제수단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네이버도 자체 라인 파이낸셜 주축의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라인 메신저, 야후재팬 중심으로 일본에도 같은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라인 등록 친구와 가상자산을 쉽게 교환하거나 라인포인트(현금 충전시 제공)를 자체 링크 코인과 연계, 결제수단으로 활용키로 했다. 앞으로 일본, 동남아 등에서 라인페이, 네이버페이와 연동할 계획이며 국내에선 디지털 자산 보관, 관리 등 커스터디 서비스를 준비할 예정이다.

카카오도 소유권과 지식, 아이템 등 디지털 자산의 거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MZ세대를 대상으로 가상자산 뿐만 아니라 대체 불가능 토큰(NFT)을 활용한 게임 아이템, 지재권, 부동산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소셜 게임, 쇼핑 등 클레이튼 기반 블록체인 앱에서 획득한 가상자산을 클립에 보관하거나 친구에 송금할 수도 있게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