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모빌리티 투자 확대
사업화 연계 및 산업 생태계 정보 공유 등 다각적 협력 추진

산업은행과 현대차그룹이 손을 잡고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벤처기업을 공동으로 발굴, 투자하는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산업은행은 29일 현대자동차그룹과 745억원 규모의 오픈이노베이션펀드 결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현대차(180억원), 기아차(120억원), 현대차증권(50억원)이 출자자로서 펀드를 공동운용하고, 산업은행(200억원), 신한은행(30억원)이 금융기관 출자자로 참여한다. 또한 현대모비스, 현대엔지니어링 등 그룹 계열사와 만도, 동희하이테크, 코리아에프티 등 부품협력사도 출자에 참여, 자동차산업 밸류 체인 전반에 걸친 오픈이노베이션을 지원하게 된다.

(제공=산업은행)
(제공=산업은행)

동 펀드의 주 투자대상은 친환경차, 스마트카 관련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하며, UAM(Urban Air Mobility‧도심 항공 모빌리티), PBV(Purpose Built Vehicle‧목적 기반 모빌리티)등 최첨단 모빌리티 기술 영위 벤처기업까지 포괄한다.

이와 더불어 양사는 이번 펀드 결성을 시작으로 다각도의 비즈니스 협력을 도모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는 서로가 보유한 벤처투자 역량과 모빌리티 기술력을 결합하여 뉴테크놀러지 기업에 대한 공동투자(Co-Investment)를 실행하고, 미래형 모빌리티 업계 동향에 대한 정보 공유 및 사업화 연계 등 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산업은행은 금번 펀드를 통해서 국내 대표 계열대기업의 벤처생태계 참여 확대와 더불어 전통 자동차부품 협력사들이 미래형 자동차 부품으로의 사업재편을 지원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IMF 직후인 90년대 말에 시작된 산업은행 벤처투자는 유망 벤처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를 기반으로 하여, KDB NextRound 등 투자유치  플랫폼 운영과 다목적 벤처펀드 조성 등을 수행 중에 있다.  

현대차그룹은 본 펀드를 통해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로 미래형 자동차에 필요한 혁신기술의 내재화를 도모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계속 발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2018년부터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제로원)을 통한 잠재력이 높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로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대전환기에 우리나라 완성차업체 및 부품협력사들의 미래먹거리 발굴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업계 민간자본이 디지털 및 그린 뉴딜로 유입되는 모멘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