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부문 여의도 본사‧죽전 데이터센터에 ‘양자암호통신망’ 구축
한화시스템이 곧 도래할 양자컴퓨팅 시대의 새로운 방패가 될 ‘양자암호통신’ 기술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뉴딜계획’ 일환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공모한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운영 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양자암호통신을 다양한 산업군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와 양자네트워크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됐다. 한화시스템은 주관 기관인 SK브로드밴드와 SK텔레콤 자회사인 아이디퀀티크(ID Quantique)와 함께 산업분야의 수요기관으로 참여한다.
양자암호통신은 비대면 활동의 확산으로 인해 공공‧민간 통신망의 보안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기존 암호화 방식 및 보안 체계가 위협받게 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보안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비눗방울처럼 깨지기 쉬운 양자 신호로 송‧수신자간 동일한 암호키를 생성‧분배한다. 만약 중간에 해킹이 시도되면 비누방울이 터져 버리듯 정보가 변질되고 송‧수신자는 이를 즉각 감지할 수 있어 해킹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방산‧제조‧금융 등 통신 보안이 특히 중요한 다양한 산업군에서 폭발적인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글로벌 대기업들도 주도권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사업을 통해 양자암호통신의 핵심기술이 적용된 양자암호 통신망을 ICT부문 여의도 본사와 죽전 데이터센터 전용망에 연내 구축한다. 이후 3년 동안 운영하면서 보안성, 안정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특히 한화시스템 ICT부문은 9월 중순부터 비대면 업무방식인 스마트워크를 시행한다. 이때 가상데스크톱(VDI)에 양자암호통신망을 연동해 보안성을 검증함은 물론, 비대면 확산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발굴하는 등 다양한 적용사례를 확보 해나갈 계획이다.
한화시스템 김연철 대표이사는 “이번 사업참여를 통해 그동안 준비해 온 양자암호통신 기술 분야에 대한 계획을 구체화하고 시장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향후 방산‧제조‧금융 분야 등으로 사업영역 확대는 물론 디지털뉴딜 시대를 이끌어갈 신사업도 적극 모색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글로벌 보안시장에서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는 비전하에 올해 초부터 신사업 추진을 검토해왔다.
지난 7월 양자보안 클라우드 솔루션 기업 더와플(theWaffle), VPN 장비 전문기업 엑스게이트(Axgate)와 협력해 양자기술 기반에서 생성된 양자 엔트로피를 상용 VPN에 적용하는 PoC(개념검증)를 진행해 적용성‧안정성‧보안성 측면에서 효과를 확인한바 있다.
한화시스템은 향후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블록체인, IoT, 자율주행 등 다양한 영역과 고도의 보안을 필요로 하는 고객사 대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확보를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한화시스템-KAIST, AI 공동연구·인재 교류 강화
- 한화시스템, 한국전자파학회와 차세대 레이다 연구협력 전폭 확대
- 한화시스템, 항공기 방어 시스템 ‘DIRCM’으로 수출시장 두드린다
- 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 에어택시 인프라 사업 개발 시동
- 현대차, 스마트모빌리티 구축 박차…"스마트시티 조성"
- 블록체인 기반 디파이, "전통 금융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 있어”
- 한화시스템, ‘스마트워크 체제’ 전환‧업무효율·유연성 ↑
- 한화시스템, 동양생명 ITO 수주…금융보험업계 ‘IT 강자’ 입지 강화
- 한화시스템, 에어택시 ‘버터플라이’ 모형 첫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