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분석 기반... 에너지, 유틸리티, 부동산은 단기 업종 

KB증권은 4일 퀀트 분석에 기반하여 미국 내 유망 업종을 선별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9월에는 필수소비재, IT, 헬스케어를 장기업종으로, 에너지, 유틸리티, 부동산은 단기 업종으로 꼽았다.

KB증권 이신영 연구원은 “필수소비재와 헬스케어 업종은 경기 국면 상 매력도가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펀더멘털 스코어가 높아 1분위 업종으로 꼽혔다”면서 “필수소비재는 전체 카테고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특히 향후 이익증가에 대한 기대감과 매출추정치 상향 조정으로 이익모멘텀 스코어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제공=KB증권)
(제공=KB증권)

IT는 경기 국면에 따른 가중 스코어를 받았고, 대부분 업종에서 ROE(자기자본수익률)가 하락한 가운데 현재 33%로 여전히 가장 높아 퀄리티 매력도가 컸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원은 “헬스케어는 펀더멘털 스코어가 전월 대비 높아져 전월 7위에서 3위로 올랐다. 특히 이익팩터 스코어가 높았는데, 코로나로 인해 전 업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매출 +0.6% (업종 평균 -3.3%), 순이익 -0.7% (업종 평균 -13.5%)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8월 미국 시장은 초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나타내면서 업종별 수익률 차별화가 두드러졌고, 이에 따라 전체 모델 모두 시장 (S&P500)을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이 연구원은 “특히 1분위로 꼽힌 IT와 커뮤니케이션 업종이 전 업종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8월 1분위 모델 성과는 +8.9%로 S&P500 지수대비 259bp 아웃퍼폼했다. 반면 3분위의 성과는 +0.1%로 부진했는데, 3분위 내 업종인 에너지와 유틸리티 업종이 전체 업종 중 가장 낮은 수익률을 나타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롱숏모델 (1분위 Long – 3분위 Short) 역시 8월 수익률 +7.9%로 양호한 성과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미국 섹터 전략은 과거 업종별 퍼포먼스에 차별화를 주었던 요인들을 기반으로 한 모델로 유망 업종을 선별한다. 1차적으로 각 업종의 펀더멘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코어에 경기순환주기에 따른 국면별 업종 가중치를 반영한다. 섹터 모델은 업종별 수익률 간의 Gap이 클수록 초과 수익률 또한 커지게 된다. 

이 연구원은 “특히 올해 미국 시장이 글로벌 국가 내에서 강세를 나타내면서 연초 이후 9.7% 상승했는데, 수익률 상하위 업종인 IT (+36.0%)와 에너지 (-39.3%)의 수익률 Gap은 70%p가 넘을 정도로 컸다”면서 “이에 따라 시장 전체보다는 유망 업종에 집중하는 전략이 유리해진 환경”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