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한 고용 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강력하게 봉쇄조치를 할 경우 취업자 3명 가운데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기 어려울 것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18일 공개한 'BOK 이슈노트-코로나19에 대한 고용 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에 취약한 비필수,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42%, 74%, 55% 수준으로 측정됐다.
한은은 "감염병 확산으로 봉쇄조치나 사회적 거리 두기를 엄격하게 시행하면 필수직이 아니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단기적으로 실업 위험에 크게 노출된다"고 진단했다.
비필수직이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단기 노동공급 충격에 노출된 비필수·비재택근무 일자리는 음식서비스, 매장판매, 기계조작 등 저숙련 직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은은 "강력한 봉쇄조치를 했을 때 취업자 3명 중 1명은 근무시간 단축이나 일시 휴직 등으로 정상적 경제활동이 어렵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 비중은 46%로 집계됐다. 고용회복에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더욱이 이러한 고용 충격은 저소득, 저학력, 청년층,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고졸 이하 저학력자가 비필수직,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은 대졸이상 고학력자에 비해 7~24%포인트 높게 추정됐다.
한은 관계자는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개별 경제활동인구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뜻“이라며,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재조정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산업별·직업별 고용취약성을 이용하여 코로나19의 고용영향을 평가한 결과, 팬데믹 이후 취업자 수 감소의 대부분이 취약 일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3~6월중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한 비필수,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의 기여율은 각각 106%, 77%, 107%로, 해당 일자리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크게 웃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특히 비필수 일자리의 높은 기여도는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시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조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음을 의미한다“며 "향후 고용회복 과정에서는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재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