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기능 내재 맞춤형 TPU 기반 ‘완벽한 단일 구글 스택’
“암호화된 링크를 통해 TPU 공간에 직접 연결”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구글이 클라우드 보안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로컬 프로세싱만큼 안전한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프라이빗 AI 컴퓨트’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기기가 구글 AI 서버의 보안 공간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구글의 궁극적 목표 중 하나는 생성AI를 최대한 많은 제품에 접목하는 것이다. 누구나 로봇 작업에 익숙해지고, 나아가면 의존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봇에 많은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구글의 새로운 ‘프라이빗 AI 컴퓨트’는 이런 작업을 더욱 쉽게 해준다. 즉 새로운 보안 클라우드 환경이 개인정보 보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AI를 충실히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애플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트’와 매우 유사하다. 구글의 ‘프라이빗 AI 컴퓨트’는 구글의 맞춤형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으로 구동되는 “하나의 완벽한 구글 스택”에서 실행된다. TPU에는 보안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새로운 시스템은 암호화된 링크를 통해 보호된 공간(TPU)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구글의 TPU는 메모리를 호스트로부터 암호화하고 격리하는 AMD 기반 ‘신뢰 실행 환경’(TEE)을 사용한다. 이론적으로 이는 구글을 포함한 어느 누구도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래서 “‘프라이빗 AI Compute’가 엄격하게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구글은 “‘프라이빗 AI 컴퓨트’는 기기에서 로컬 프로세싱을 사용하는 것만큼 안전하다”면서 “하지만 구글 클라우드는 노트북이나 휴대폰보다 훨씬 강력한 처리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구글의 가장 크고 강력한 제미니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 동안 구글은 자체 픽셀 휴대폰 등에 많은 AI 기능을 추가하는 등 기기 내 신경망 처리 장치(NPU)의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픽셀을 비롯한 일부 휴대폰은 ‘제미니 나노’ 모델을 통해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지 않고도 ‘엣지’에서 안전하게 AI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픽셀 10 출시와 함께 구글은 딥마인드 연구진을 통해 ‘제미니 나노’를 업그레이드,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NPU가 모든 것을 처리할 수는 없다. ‘제미니 나노’의 성능이 향상되고 있지만, 대용량 고(高)사양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델과는 경쟁할 수 없다. 그러나 구글은 “이제 ‘프라이빗 AI 컴퓨트’ 시스템 덕분에 훨씬 더 유용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