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36년 만에 ‘우지’로 만든 ‘삼양1963’ 공개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진행된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신제품을 들고 있다.(사진:삼양식품)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진행된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신제품을 들고 있다.(사진:삼양식품)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식품업계가 브랜드의 정체성과 요즘 미식 트렌드를 결합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익숙한 맛에 새 해석을 더해 세대 간 공감대를 넓히려는 움직임이다. 이런 가운데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를 쓴 라면을 다시 내놨다. 이름은 ‘삼양1963’이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을 공개했다. 1963년 첫 삼양라면 제조 방식을 현재 기술로 다시 풀어낸 제품으로, 동물성 기름인 우지를 써 면의 고소함과 국물의 진한 맛을 살렸다. 삼양식품이 우지를 사용한 라면을 내놓은 것은 1989년 이후 처음이다.

이번 발표는 삼양식품의 출발점인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열렸다. 창업주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시장에서 서민들이 ‘꿀꿀이죽’으로 끼니를 때우는 모습을 보고 간편하면서도 든든한 식품을 구상한 것이 라면 개발의 계기가 됐다. 삼양식품은 당시의 출발점을 다시 찾는 의미로 이곳을 발표 장소로 택했다.

새 제품은 1960년대 라면 제조 과정을 지금의 방식으로 다듬었다. 우지와 식물성 팜유를 섞은 오일로 면을 튀겨 조리할 때 고소한 향이 국물 맛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했다.

국물은 사골 육수에 무, 대파, 청양고추를 넣어 깔끔하고 얼큰한 맛을 냈다. 후첨 방식으로 넣은 단배추, 대파, 홍고추 후레이크는 재료 본연의 식감과 향을 살렸다.

출시일 역시 상징적인 날로 정했다. ‘우지 파동’이 있었던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다. 삼양식품은 이 날짜를 택해 과거의 기억을 넘어 브랜드의 정통성을 새롭게 잇겠다는 뜻을 담았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우지는 삼양라면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재료였다”며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도”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