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 AI가 사고 가능성 먼저 알려주는 'K-Safer' 시범 돌입
공공도 '데이터로 문제 해결'…AI 도입 경쟁 가속

한국교통안전공단이 8월부터 시범 운영하는 AI 기반 교통사고 위험 예측 시스템 ‘K-Safer’.(사진: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이 8월부터 시범 운영하는 AI 기반 교통사고 위험 예측 시스템 ‘K-Safer’.(사진:한국교통안전공단)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걸쳐 확산되는 가운데, 공공 부문에서도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도시 관제, 에너지 관리,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등 민간이 주도하던 영역을 넘어, 공공 서비스에 AI를 도입해 사고를 줄이고 안전을 높이려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도 이같은 움직임에 발맞춰, 도로 사고를 미리 예측하는 AI 시스템 운영에 들어간다. 새로 꾸린 ‘AI 전략기획단’으로 내부 운영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기관 전반에 걸쳐 AI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전략기획단은 업무 영역별로 나뉜 3개 분과에서 AI 적용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먼저 발굴하고, 실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번 조직 개편은 단순한 시범 프로젝트를 넘어, 기관 전체의 운영방식과 서비스 구조를 AI 중심으로 바꾸겠다는 선언에 가깝다. 공단은 올해 안에 중장기 AI 전환 전략을 마련하고, 각 분야에 맞는 AI 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이 전략의 첫 번째 사례가 바로 AI 기반 사고 예측 시스템 ‘K-Safer’다. 공단은 8월부터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하는 총 3,500km에 달하는 국도 노선에 이 시스템을 시범 적용한다. K-Safer는 교통사고 이력과 운행 패턴 데이터를 분석해 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을 미리 식별하고, 그에 맞는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공단은 이 시스템이 사고 가능성을 사전에 경고해 줄 수 있어, 관리 기관이 필요한 조치를 제때 취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시범 운영을 마친 뒤에는 전국 국도 전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이번 시범 사업을 계기로 교통안전 정책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미 지난해에는 버스 운전자의 위험 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AI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한 바 있다. 당시 이 시스템은 정부혁신 경진대회에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기술의 효과를 인정받았다.

공단은 향후 AI 기술을 기반으로 운전자 안전 관리 체계를 한층 고도화하는 동시에, 자동차 보험 등 민간 서비스와도 연계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데이터 분석과 예측 기술을 활용해 운전자의 습관을 개선하고, 그 결과를 보험 할인 등 실질적인 혜택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AI를 활용해 교통안전과 경영 혁신을 동시에 이루겠다”며 “국민 모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