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2℃ 이내로 제한할 경우 석유 수요가 2011년보다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마리아 반 더 호벤 사무총장은 지난 13일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이같은 내용의 ‘에너지기술전망(ETP) 2014’를 공식 발표했다. 이 ETP 2014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이날 우리나라에서 발표됐다.
마리아 반 더 호벤 사무총장은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특징으로 볼 때 전기에너지의 중요성이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질 것이라면서, 지구 온도가 2050년까지 2℃ 이내로 상승(2℃ 시나리오)할 경우 2011년 대비 에너지수요는 25% 증가하고 탄소 배출량은 50% 이상 증가하며 석유수요는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전력수요는 80% 증가하며 1차 에너지 공급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60%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력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조절하는 통합지능전력시스템이 더욱 필요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2℃ 시나리오의 달성을 위해서는 총 44조 달러의 추가 투자가 필요하지만 화석연료 사용 감소로 인해 총 71조 달러의 순연료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ETP는 IEA가 매 2년 마다 발행하는 ‘에너지기술 이정표’로 청정에너지 보급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에너지기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