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기술로 포트폴리오 확대
전기차 시장 진입 본격화

삼성SDI가 지난 3월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5'에서 46파이 배터리 라인업을 공개했다.(사진:삼성SDI)
삼성SDI가 지난 3월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5'에서 46파이 배터리 라인업을 공개했다.(사진:삼성SDI)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삼성SDI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양산에 본격 돌입하고, 미국 고객사에 첫 제품을 공급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 가운데 이 제품을 양산해 공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SDI는 최근 베트남 생산법인에서 4695 규격(지름 46mm, 높이 95mm) 배터리 모듈의 출하식을 열고, 마이크로모빌리티용 배터리를 미국 고객사에 초도 납품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하된 셀은 삼성SDI 천안사업장에서 생산된 뒤 베트남 공장에서 모듈 형태로 조립됐다.

삼성SDI는 기존 계획보다 1년 이상 앞당겨 이번 양산을 시작했다. 그만큼 제품 기술력과 제조 역량, 품질 시스템에서 자신감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는 이미 미국 고객사 확보에 성공했으며, 앞으로 공급 대상을 넓혀갈 예정이다.

삼성SDI가 선보인 46파이 배터리는 고에너지 밀도 구현을 위해 하이니켈 NCA 양극재와 자사 독점 소재인 실리콘 카본 나노복합체(SCN) 음극재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배터리 팽창(스웰링) 현상을 줄이고, 한 번 충전으로 더 오래 쓸 수 있도록 수명과 안전성을 높였다.

여기에 셀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통로를 넓히는 '탭리스(Tabless)' 구조를 도입해 내부 저항을 기존 대비 약 90% 줄였고, 출력 성능도 함께 끌어올렸다. 이러한 기술 덕분에 에너지 용량은 기존 21700 셀(지름 21mm, 높이 70mm) 대비 약 6배 이상 커졌으며, 같은 공간에 더 적은 셀을 넣고도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앞서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2025’ 전시회를 통해 4695 외에도 4680, 46100, 46120 등 다양한 46파이 라인업을 공개하며 1분기 내 양산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 계획이 현실화된 셈이다.

삼성SDI는 현재 주요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와도 46파이 배터리 관련 프로젝트를 논의 중이다. 이번 미국 공급을 시작으로 전기차 분야로의 진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46파이 배터리 시장은 2025년 155GWh에서 2030년 650GWh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33% 이상 성장하는 셈이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 삼성SDI의 이번 양산과 공급은 향후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 관계자는 “이번 양산을 통해 제품군이 더욱 다양해졌고,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확실한 우위를 가져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