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워크스테이션 등 다양한 기기 실행 AI 앱
35개 이상 언어 지원, 텍스트, 이미지, 짧은 비디오 분석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구글이 13일 오픈소스 모델 ‘Gemma 3’(겜마 3)를 발표하면서 “세계 최고의 단일 가속기 모델”임을 강조했다. 겜마 3에는 고해상도 및 비정사각형 이미지를 쉽게 처리하는 업그레이드된 비전 인코더가 들어 있다.
겜마 3는 자사의 AI 모델 제품군에 대한 최신 업데이트다. 이 모델은 개발자가 스마트폰에서 워크스테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AI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35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고 텍스트, 이미지, 짧은 비디오를 분석할 수 있다.
Google은 제미니 AI의 기반이 되는 동일한 기술로 구축된 두 개의 ‘오픈 소스’ 겜마AI 모델을 출시한 지 1년이 조금 넘은 지금, 업데이트를 한 겜마 3을 출시했다.
구글은 겜마 3가 “세계 최고의 단일 가속기 모델”이라고 주장하며, “단일 GPU가 있는 호스트에서 실행할 때 메타의 라마(Llama)나 오픈AI와 같은 경쟁사보다 성능이 뛰어나다”고 자부했다. 구글은 ‘익스트림테크’나 ‘더 버지’ 등을 통해 “엔비디아 GPU 및 전용 AI 하드웨어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겜마 3에는 고해상도 및 비정사각형 이미지를 손쉽게 처리하는 업그레이드된 비전 인코더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입력 및 출력 이미지에서 성적으로 노골적이거나 위험하거나 폭력적인 콘텐츠를 걸러내는 ‘ShieldGemma 2’라는 ‘이미지 안전 분류기’가 포함되어 있는게 특징이다.
작년에는 Gemma와 같은 모델에 얼마나 관심이 있을지 불분명했다. 그러나 딥시크 등이 등장, 인기를 끌면서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낮은 AI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이번 겜마3는 이런 추세에 부응한 것이다.
구글은 또 “겜마 3의 향상된 STEM 기술이 유해 콘텐츠 오용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지만 테스트 결과 위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구글은 구글 클라우드 크레딧으로 겜마를 계속 홍보하고, ‘겜마3 아카데믹’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술 연구자는 최대 1만달러 상당의 크레딧을 신청, 연구를 가속화할 수 있다.
다만 겜마에 대한 구글의 라이선스 규칙은 변경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진정한 오픈소스 AI 모델이 되기 위해선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촉발되었다”는 지적도 따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