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명 ‘오퍼레이터’, 앤트로픽·MS 등은 이미 개발
막대한 비용과 에너지 불구, “수익은 저조” 고민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오픈AI가 ‘오퍼레이터’라는 코드명의 새로운 AI에이전트를 내년 1월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엑시오스 등은 업계 정보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 “오픈AI는 13일 열린 직원 회의에서 이같은 일정을 공표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오픈AI는 1월에 ‘연구 미리보기’와, 개발자를 위한 회사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퍼레이터’를 출시할 계획이다.
‘오퍼레이터’는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AI 스스로 사용자를 위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에이전트 또는 AI 소프트웨어 도구다. 이미 이보다 앞서 앤트로픽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일을 처리하고, 이에 적합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유사한 에이전트를 공개한 바 있다.
오픈AI를 후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도 최근 직원들의 기록을 관리하도록 설계된 에이전트 도구 세트를 출시했다. 또한 ‘The Information’에 따르면 구글 역시 AI 에이전트를 출시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도 그 동안 여러 갈래의 에이전트 관련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소식통에 의하면 우선 제일 먼저 출시될 제품은 웹 브라우저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범용 도구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CEO인 샘 앨트먼은 지난달 레딧의 ‘Ask Me Anything’ 세션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에이전트로의 전환을 암시하기도 했다. 앨트먼은 당시 “본사는 점점 더 나은 모델을 갖게 될 것”이라며 “그 결과 다음에 더욱 거대한 돌파구처럼 느껴질 것은 에이전트가 될 것 같다”고 출시를 예고했다.
그러나 이같은 에이전트형 AI 도구를 출시하려는 움직임을 가로막는 걸림돌도 적지 않다. 데이터 가뭄이나 막대한 비용과 에너지 소모 등이 대표적이다. 오픈AI와 앤트로픽, 마이크로소프트 등 경쟁사들이 모두 진보된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했다. 그러나 정작 수익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이들의 고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