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V, 자율주행차, 인포테인먼트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
스마트카, 레벨3 이상, ‘차량 내 음성인식, OTA, OTT 스트리밍, 웹서핑’
LG전자 선두, 국내 텔레매틱스 시장 경쟁도 치열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SDV(Software Defined Vehicle, SW정의 차량), 자율주행차, 인포테인먼트 등 모빌리티 시장의 연결성이 확대되며, 이들을 아우른 ‘텔레매틱스’가 날로 유망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중 ‘스마트카’ 구현을 위한 SDV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고도의 통신 연결이 중요해짐에 따라 텔레매틱스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자율주행차 등이 부상하면서 SW 중심의 SDV가 주목받고 있다. SDV는 자율주행 등 SW 기반 안전 기능을 통합, 개선해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한편, 개인맞춤화 등으로 차별화하고 있다.
SW를 통해 구동되는 SDV
SDV는 차량의 주요 기능이 SW를 통해 구동되는 자동차다. 스마트폰처럼 차량 무선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자율주행 제어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 HW 중심의 기계적인 작동에서 SW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자동차의 경쟁력이 HW가 아닌 SW에 의해 결정된 계기가 되었다.
SDV는 전기/전자 아키텍처, SW 플랫폼, 데이터 플랫폼 등으로 구성된다. SDV 기술 발전에 따라 전기/전자 아키텍처는 HW 중심의 도메인 기반(Domain-based) 아키텍처에서 SW 중심의 영역 기반(Zone-based) 아키텍처로 진화하고 있다.
SDV는 도입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나뉜다. ‘Vehicle 1.0’은 기존 아날로그 차량, Vehicle 2.0는 내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장을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 Vehicle 3.0은 OTA로 일부 SW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차량, Vehicle 4.0은 SW와 HW가 완전 분리 개발된 SDV 차량 등으로 구분된다.
SDV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자체 OS 및 차량용 SW 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또 5G 및 엣지 통신 방식 및 다중 채널과의 연결 등 고도화된 통신기술과 함께 고도의 텔레매틱스 기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SDV는 차량 내에서 자체적으로 도로 교통상황 및 운전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가 요구되면서, LTE보다 10~20배 빠른 속도의 5G 통신 탑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년 후 레벨3 자율주행차가 47%
‘자율주행’ 역시 중요한 텔레매틱스의 요소다. 자율주행 기술이 발달될수록 외부 교통 상황 및 신호 시스템, 다른 자율주행차, 차량 내부 등 주변 교통정보를 감지하고 주행 환경 등을 클라우드로 전송하고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5G 등 고성능의 텔레매틱스 기술이 요구된다.
자율주행 기술 수준은 2022년 레벨 1이 45%의 점유율로 주류를 형성했다. 그러나 2023년 레벨 2가 보급형 차량을 중심으로 확산되었고, 2026년에는 56%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9년에는 레벨 3가 47%의 점유율로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딘다.
자율주행기술은 차량 뿐 아니라, 농기계‧건설기기 등 다른 분야로 확대되면서 텔레매틱스 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농기계 시장에서도 빅데이터, IoT, AI 등과 관련된 기술이 날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텔레매틱스 기술이 적용된 농업기계는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 작물재배에 대한 종합관리가 가능하다. 덕분에 농업인의 작업 피로를 줄이고 생산 효율은 높여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란 기대다.
디지털 콕핏과 SDV 맞물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급성장
디지털 콕핏의 등장과 SDV 전환 등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In Vehicle Infotainment) 기능도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차량 내부 대시보드에 오디오·카세트 등 단순 기능이 탑재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음성인식, 무선 SW 업데이트(OTA), OTT 스트리밍, 웹서핑 등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신속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5G 등 고성능 텔레매틱스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차량 내부에 별도로 존재하던 계기판(Cluster),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오디오, HUD(Head Up Display), 네비게이션 등 인포테인먼트 구성 요소들의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또 이들에 의한 다양한 정보가 디지털 콕핏(Cockpit)으로 통합되면서 인포테인먼트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특히 “완성차 업체의 SDV 전환에 따른 차량 내 SW 기능 강화 행보와 맞물리면서 인포테인먼트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는 예측이다.
LG전자, 하만 등 선점, 삼성전자도 곧 뛰어들어
국내 텔레매틱스 생산 업체는 5G TCU 기술력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 분야에선 LG전자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22년부터 5G TCU를 출시했으며 투명 안테나 등으로 통신 기술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하만도 퀄컴과의 협업으로 5G TCU 개발 및 아마존에 공급을 시도하고 있다.
LG전자는 2022년 유럽과 일본 완성차 업체의 5G 텔레매틱스 공급을 수주했다. 2023년에는 GM의 ‘인포테인먼트 및 텔레매틱스 분야 최우수 공급사’로 선정되는 등 텔레매틱스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2026년부터 출시될 신차에 5G 통신을 적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해당 부품을 공급하는 LG전자의 5G 텔레매틱스 수주 물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LG전자는 ‘CES 2024’에서 차량 유리에 자유로운 형태로 부착 또는 삽입할 수 있고, 5G·위성통신· GPS 등 다양한 통신 지원 및 대량의 통신량을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차량용 투명 안테나를 공개했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필수 구성요소인 5G-V2X 기술 등을 개발하는 등 미래차 시대에 대응하고 있다.
하만은 지난 ‘MWC 2024’에서 ‘하만 레디 커넥트 5G TCU’를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 제품은 퀄컴의 차량용 통신칩 ‘스냅드래곤 오토 5G 모뎀-RF 2세대’를 장착,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저지연과 강화된 연결성을 제공할 것”이란 설명이다. 하만은 또한 아마존 로보택시 자회사 ‘죽스(Zoox)’의 완전 자율주행 전기차 ‘L5’에 TCU를 공급하기 위해 샘플을 제출했다. 이는 지난 3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대형 M&A 대상으로 독일 콘티넨탈 전장 사업의 부분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사업을 인수할 경우 하만과의 시너지를 도모하며, 전장 부문 성장의 기폭제가 될 것이란 예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