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로봇·의료기술·인공지능 등 6대 첨단 기술 공개
3일부터 사흘간 킨텍스서 최첨단 기술 전시 및 사업소개

뉴로모픽 반도체로서 본문 기사와는 직접 관련이 없음. (출처=삼성전자)
뉴로모픽 반도체로서 본문 기사와는 직접 관련이 없음. (출처=삼성전자)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3일부터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나노코리아 2024’에서 10억분의 1미터를 뜻하는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을 조작하는 첨단 나노기술 6종이 공개되어 눈길을 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이번 전시회에서 최근 연구개발 중이거나 연구 성과로 도출된 ▲촉감센서 집적형 로봇 ▲근골격·심혈관 등 의료분야 ▲뉴로모픽 인공지능 기술 등 우리 삶과 밀접한 나노 관련 기술 6개와 3개 사업 등을 일반에 공개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기술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위한 유연인장 패치 기술 등이 눈에 띈다.

먼저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기술’은 공기압 기반의 고내구성 압력센서와 최신 로봇핸드가 융합된 기술이다. 여러 방향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해 로봇핸드가 사람의 손처럼 자연스럽게 물체를 다룰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앞서 연구원은 사람 피부와 유사한 강성을 가지는 에어 챔버형 유연 촉각센서 하드웨어 기술과 고분해능 신호처리 회로 기술 개발을 통해 물체의 강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도화된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로봇과 인간 간 상호작용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물류 자동화, 가정용 로봇, 스마트팩토리,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은 피부에 부착하거나 옷 위에 착용할 수 있는 유연한 압력 센서와 진동 센서를 활용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센서 기술이다.

옷 위에 착용하여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측정 시 피부의 유분, 땀 등으로 인한 불편함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근육의 활성도와 피로도를 동시에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실시간 근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개인별 누적된 근활동 정보를 제공한다.

기존에는 근육의 활성도와 피로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서 ETRI의 본 기술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 그러나 이 기술은 임상 시험을 통해 스마트 스트랩이나 웨어러블 스포츠 기기로 개발되어 일반인의 헬스케어 증진에 활용될 계획이다.

향후 운동선수의 근손상 재활치료, 고령자의 근감소증 관리, 근마비 환자의 장기 재활 등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위한 유연인장 패치 기술’은 피부처럼 얇고 유연하며 늘어나는 패치 형태의 소자를 흉부에 부착해 연속적인 혈압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센서 기술이다.

이는 기존 착용형 혈압 측정기 대비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고, 혈압뿐 아니라 심전도, 체온 등 장시간 생체신호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융복합 센서 기술이다. 기존 혈압측정기는 앉아서 움직임을 최소로 한 상태에서 하지만, 본 기술은 서 있거나 움직이는 상태에서 혈압측정을 하더라도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 선이 없이 측정할 수 있어 편의성을 높였다. 향후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이나 외래 환자 대상 홈/데일리케어 서비스 분야의 응용될 것이란 기대다.

이외에도 연구진은 △로봇핸드를 이용한 물체 인지 및 분류 기술 △뉴로모픽 인공지능칩 기술 △저온공정 고전도성 전극 페이스트 소재 및 공정 기술을 선보였다.

또한 반도체 실험실인 팹(Fab)을 기반으로 활발히 진행 중인 다양한 사업도 소개했다. 즉, ▲반도체 실험실/플렉시블전자소재센터 ▲융합혁신지원단/N-TEAM ▲반도체 설계검증 인프라활성화 사업 등이다.

연구원은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협업 기관으로 선정되어 지난해부터 반도체 설계 부트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대학 및 기업과 연계해 교육부 첨단산업 부트캠프 참여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 직무 중심의 반도체 설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