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TIOBE 프로그래밍 언어지수, “파이썬, 부동의 1위”
‘C++’, ‘끊임없는 업그레이드’ 반복한 풍부한 기능의 관용어
‘Go’ 작년의 2배 속도로 7위 랭크, ‘Rust’도 17위로 폭등
[애플경제 김미옥 기자] C++는 이번 달 TIOBE 프로그래밍 언어 커뮤니티 지수 상위 3위에서 C를 추월했다. 이는 지난 해 C++가 꾸준히 성장해온 반면, C는 점차 하락해온 결과를 반영한 변화다. C++는 지난 2011년 이후 성능과 확장성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며 역량과 영역을 넓혀왔다.
이번 6월 TIOBE 지수에선 특히 Rust와 Go가 급성장해 사용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TIOBE 프로그래밍 커뮤니티 인덱스는 검색 엔진 양을 기준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추세를 보여주는 지수다.
C 확장으로 탄생한 C++가 C를 추월해
그러나 이번 6월 지수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C++의 2위 승격이다. C++는 지난 2022년 12월 이후 지속적으로 TIOBE 지수에서 3위를 차지하며, 전에 3위를 유지했던 Java의 자리를 빼앗았다. C++의 인기는 또한 2023년 2월에 급등했으며, 그 이후로도 완만하지만 꾸준한 성장을 누렸다.
C++는 임베디드 시스템, 게임 개발, 금융 거래 소프트웨어 등의 분야에서 특히 많이 사용된다. 이는 지난 1985년 C의 확장으로 처음 출시되었다. 이 점은 C++에게 유리한 점일 수도 있고, 반대로 C를 추월해 더 높은 순위에 도달하는데 걸림돌이 되었을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C++의 장․단점도 지적한다. 단점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이는 또 ‘오랜 역사를 지니면서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목표로 하는 풍부한 기능의 관용구“라는 호평도 따른다.
특히 TIOBE사는 “C++는 2011년부터 3년에 한 번씩 일관된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곤 했다”면서 “모든 엔지니어와 컴파일러가 그때마다 모든 업데이트 일정을 따라잡지는 못했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의 생동감 덕분에 TIOBE 인덱스에서 꾸준한 인기와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C++ 표준은 국제표준화기구(IOS)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의해 제정되었다. 현재 버전은 C++23이다.
6월 TIOBE 지수, 또다른 눈에 띄는 점들
이번 6월 TIOBE 지수에선 또 프로그래밍 언어인 Go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2배나 뛰어오른 7위에 랭크되었다. 또 Rust는 사상 최고인 17위를 기록했다. ‘Fortran’은 지난 달에 이어 10위로 인기를 유지했다. 지난 5월에 버전 2.0.0으로 업그레이드된 코틀린(Kotlin)은 지난해보다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며 현재 19위에 올랐다.
이 밖의 6월 상위 10개 프로그래밍 언어를 보면, 여전히 부동의 1위는 파이썬(Python)이다. 이는 백엔드 개발 및 데이터 과학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특히 초보자에게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평이 나있다.
C는 C++에 밀려 비록 3위로 떨어졌지만, 각종 앱과 시스템 개발에 자주 사용되는 인기 프로그래밍 언어다. 구문은 다른 널리 사용되는 언어와 유사하므로 초보 개발자에게 매우 유용하다. 4위인 Java는 AI, 앱 및 웹 개발에 매우 적합한 언어다. Java를 배우려면 비교적 고급 기술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1950년대 탄생 '포트란' 10위로 여전히 건재
5위인 C#도 앱, 게임 및 웹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객체 지향 및 구성 요소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C 및 Java 언어 계열과 유사하다. 6위인 JavaScript는 웹 서버는 물론 앱, 게임, 웹 개발에 자주 사용되는 스크립팅 언어다. Java보다 더 간단하고 유연하기 때문에 일부 프로그래밍 작업에는 부적합하지만, 한층 배우기 쉽다는 평가다.
8위를 차지한 SQL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언어다. 9위를 차지한 Visual Basic은 프런트 엔드 및 풀 스택 개발에 적합한 ‘드래그 앤 드롭’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프로그래밍 언어다. 10위에 랭크된 포트란(Fortran)은 1950년대에 처음 사용된 언어다. 특정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든 시스템에서 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시엔 획기적이었다. 오늘날에도 과학 연구, 공학 등 각종 분야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