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 ‘빌드 컨퍼런스’ 통해 출시, “다른 ARM칩보다 우수”
“가성비 우수…비싼 엔비디아 칩 대체 노력 일환”

ARM의 '코발트' 칩.(출처=마이크로소프트)
ARM의 '코발트' 칩.(출처=마이크로소프트)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MS는 다음 주 열릴 비전 설명회 ‘빌드(Build) 컨퍼런스’에서 미리 보기 형식으로 맞춤형 ‘코발트 100’ 칩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16일 기술매체 등 외신을 종합하면 ‘빌드’에 앞서 열린 브리핑에서 MS 클라우드 및 AI 그룹 부사장인 스콧 거더리는 자체 개발한 ‘코발트’ 칩을 그 동안 개발자들에게 인기리에 보급되었던 AWS에 쓰는 ARM 프로세서 ‘그래비튼’ 칩 등과 직접 성능을 비교하기도 했다.

거더리 부사장은 이 자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칩이 클라우드 시장에서 다른 ARM 칩보다 40%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도비, 스노우플레이크 등은 이미 ‘코발트’ 칩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주 AMD의 ‘MI300X’ 가속기도 제공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초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코발트’ 칩을 발표했다. 64비트의 ‘코발트’ 칩은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128개의 코어를 갖추고 있다. MS는 ‘코발트’ 칩 외에도 다음 주에 애저 고객사에 AMD의 ‘MI300X’ 가속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주요 GPU 제조업체임에도 불구하고 AMD는 AI 분야에서 오랫동안 엔비디아를 뒤처져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MS나 AWS와 같은 대규모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엔비디아의 값비싼 칩을 대체할 만한 제품을 찾고 있고, AMD가 더 나은 소프트웨어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어느 정도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코발트’ 칩은 그런 흐름의 일환이다.

MS 거더리 부사장은 이를 “현재 애저에서의 오픈AI 제품 가동을 위한 가장 가성비 높은 GPU”라고 설명했다.

한편 MS는 다음 주 개최하는 ‘빌드’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액세스하고 실행하는 요금을 인하할 것으로 전해졌다. 아직 정확히 어느 수준일지는 알려져있지 않다.

또한 MS의 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패브릭’(Fabric)으로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허용하는 새로운 ‘실시간 인텔리전스 시스템’을 미리 선보일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 스트리밍 분산 데이터 스토어인 ‘Kafka’ 통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AWS 키네시스, 구글 클라우드의 ‘Pub/Sub 데이터 스트리밍’ 시스템을 지원한다.

스노우플레이크와 파트너십 체결

이번 ‘빌드’에서 MS는 스노우플레이크와의 파트너십도 발표할 예정이다. ‘패브릭’은 이제 스노우플레이크의 아이스버그 형식을 지원함으로써 “스노우플레이크와의 원활한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하고, 스노우플레이크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패브릭’에 표시하거나 그 반대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또 MS는 개발자가 자연어를 사용, 코파일럿에서 직접 애저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할 계획이다. 거더리는 “이를 통해 개발 스택과 애저 전체에서 자연어를 사용해, 더욱 긴밀한 개발자 루프를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는 또한 공통 확장성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구축되므로 다른 제공업체도 여기에 연결,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