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I챗봇, AI스토리지 솔루션, AI반도체 시험, 검증, 통합 기술
AI재고관리, AI기반 SW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데이터라벨링 고도화 등
지난해보다 더욱 ‘성황’…생성AI와 LLM기반의 다양한 솔루션 ‘홍수’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지난 3일 막을 내린 ‘AI엑스포코리아 2024’는 지난해 같은 행사보다 한층 성황을 이루며, 마지막날까지 수많은 관람객들로 붐비는 모습이었다. 참가업체들도 크게 늘어난 가운데 기술과 제품 분야도 한층 다양해졌다. 특히 작년과는 달리 생성AI 기반의 LLM 내지 sLLM 솔루션과 이를 기반으로 플로그인이나 프로그램들이 홍수를 이루기도 했다.
그 중 맞춤형 AI챗봇이나 업무 전반을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수행하기 위한 AI솔루션은 이제 보편적인 제품으로 확산되고 있다. “금융, 교육, 마케팅 등 어떤 분야든 특화된 AI챗봇이나 AI솔루션을 만든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AI프로세스를 위해 데이터세트를 신속히 로드, 복사하는 AI스토리지 솔루션, AI반도체를 시험, 검증, 통합 관리를 위한 지능형 보드 팜, AI재고관리 솔루션, 그리고 AI기반의 SW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데이터라벨링 고도화 솔루션 등도 앞다퉈 출시되었다.
GPU컴퓨팅, 네트워크 최적화 ‘AI스토리지 솔루션’
베이넥스(주)가 출시한 퓨어AI스토리지 솔루션은 GPU컴퓨팅과 네트워킹을 최적화하는 스토리지 플랫폼이다. 데이터소스나 스토리지 리소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엑세스를 자동화하고, 며칠만에 모델을 교육할 수 있다. 엔드 투 엔드 AI워크플로우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적절한 크기로 세밀하게 확장, 모든 데이터에 다차원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화 된 환경에서 AI워크로드를 실행하기 위해 지속형 스토리지 리소스를 자동화한다. 거버넌스, RBAC, 백업 및 복구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와 함께 최고 수준의 가용성과 휴대성을 제공한다. 트레이닝에 필요한 대용량 저장소 데이터 세트를 디스크 비용으로 올플래시 용량에 최적화된 스토리지에 보관한다.
맞춤형 생성AI모델, 비즈니스 AI 트렌드 센싱 등
티쓰리큐는 AI미들웨어를 출시했다. 고객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생성AI(프라이빗 LLM)이자, AI기반의 멀티모달 지능형 통합 검색서비스다. 또한 데이터 전주기를 지원하고, AI모델 개발과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는 정형데이터, 전자문서, 출판물, TV방송, 영상자료, 위성자료, 사진, 바이너리, 음성, 소리, 이미지, 사진 등 원천데이터를 일단 빅데이터화한다. 즉, AI기반 자동변환 툴을 통해 전처리, 정제, 문서 필터, 영상처리, 위성영상 처리, 바이너리 전처리, 이미지, 객체인식 등을 통해 빅데이터로 만든다. 이를 다시 데이터 적재한다. 즉, 관계형DB, 문서형DB, 벡터형DB, 컬럼기반 DB, 분산파일시스템 등의 데이터패브릭을 구축한다. 그런 다음 이를 바탕으로 지능형 검색이나 AI기반 분석서비스, LLM 또는 프라이빗 LLMㅇ르 구축하는 것이다.
㈜레인보우브레인은 이커머스 상품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분석하는 AI서비스 ‘유레카브레인’을 출시했다. 또 시장 트렌드를 미리 예측하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AI서비스 ‘트렌드 센싱 보드’를 출시했다. 이는 생성AI로 데이터를 분석, 가공, 시장과 산업 전반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AI반도체 통합 고나리 지능형 보드
㈜테스트웍스는 AI반도체를 시험,검증, 통합 관리를 하기 위한 지능형 보드 팜을 출시했다. 즉,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불필요한 제어용 PC가 필요없이 DUT(Device Under Test)에 집중, 다중 사용자의 개발과 검증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 관리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회사측은 또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CI(Continuous Integration), CT(Continuous Test), CD(Continuous Delivery)체계를 빠르게 구축, 성능 검증에 필요한 리소스와 시간,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을 양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CI와 연동, CD와 CT가 가능하도록 Rest API를 제공한다 검증 결과를 시각화, SW개발 현황을 신속히 파악, 대처할 수 있도록 웹UI를 지웒나다. 또 AI 반도체의 성능, 전력 소비량 등을 MLPerf 기반으로 벤치마크 리포트를 제공한다.
AI기반 SW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엡테스트닷 에이아이(Apptest.ai)는 “빠르고 간편한 AI기반 SW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제품인 테로(Ptero)는 테스트 자동화 클라우드로서, AI가 전적으로 수행하는 완전자율 탐색 테스트 솔루션이다. 사전에 경로를 정의하지 않고도, AI가 화면을 보고 앱을 자유롭게 탐색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예측하기 어려운 SW의 에러나 경고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GUI AI 인식 기반의 모바일 테스트 시나리오 저작 도구인 ‘Stego’도 출시했다. UI 이미지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빠르게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고, 강력한 AI 기반 화면 분석도구로 복잡한 비주얼 검증 요소도 하나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저작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 Ptero와 연동, 동시에 여러 대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테스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라벨링, AI기반 재고관리 등
틱택코리아는 데이터 수집과 라벨링 전문업체다. AI가 학습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이다. 이는 특수 데이터부터 일반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수집과 가공을 통해 ‘고품질 데이터셋’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공급하다는 설명이다.
임펙티브AI사는 AI재고관리 솔루션 ‘딥플로우’를 선보였다. 이는 다양한 환경변수를 고려한 AI솔루션 예측기술을 이용, 정확한 재고 관리를 수행한다. 안팎의 데이터를 획득, 딥플로우의 데이터 에이전트가 AI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작업을 실행한다. 그런 다음 데이터 전처, 4억7천억번 조합의 피쳐 엔지니어링, 모델 학습 등 모델링 자동화를 거쳐 AI예측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 UI를 통해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웹 에디터 기반 AIoT 시각화 솔루션, AI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웹 에디터 기반의 AIoT 시각화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는 스마트팩토리, 빌딩, 시티의 IoT 모니터링 시스템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 또 머신러닝 기반의 IoT센서 이상 패턴 기능으로 설비의 이상이나 고장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역시 머신러닝 기반의 최적 조건을 예측, 설비 일탈 예측, 운전 조건과 공정 품질을 예측하게 한다. 또한 딥러닝 기반의 영상안전 이상을 탐지,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한다.
㈜웰메이드는 AI데이터센터 열제어 액체 냉각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는 구성되는 부품 전체를 액침 용액(절연유)에 담궈 쿨링하는 액침 쿨링과, 그로 인해 용액에 제품을 담궈도 문제가 없는 하이엔드 커스텀 액체 냉각 방식이다. 또 모든 소자가 용액에 접촉하므로, 핫스팟이 없는 일정한 쿨링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폴리 카보네이트 소재의 수조와 완벽한 실링으로 누수의 위험이 없다. 이는 또 공간 친화적이고, 바퀴가 달려있는 등 이동이 편리하게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