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전년 2배 성장, 2027년 전체 모바일 시장의 40% ‘5억 대 출하’
사용자들, 다양한 콘텐츠제작, 이미지 생성, 비서 앱 등 생성AI 스마트폰 선호
삼성이 시장 ‘절반’, 중국 업체 추격, 칩셋은 퀄컴 주도, 미디어텍 추격

삼성 폴더블폰. (사진=매셔블)
삼성 폴더블폰. (사진=매셔블)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생성AI 시대가 되면서, 모바일 시장 역시 생성AI 기반 스마트폰이 주류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글로벌 시장분석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최근 “생성AI 디바이스의 등장으로 스마트폰 산업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이라며 이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2023년의 경우 생성AI 스마트폰의 점유율은 약 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2024년에는 그 2배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다시 2027년까지는 무려 40%까지 이를 것으로 보이며, 출하량은 5억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었다.

2024년에는 삼성이 전체 생성AI 스마트폰 시장의 절반을 차질할 것으로 보인다. 샤오미(Xiaomi), 비보(vivo), 아너(HONOR), 오포(OPPO)와 같은 주요 중국 제조업체들이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카운트포인트 “퀄컴과 삼성, 생성AI 스마트폰 시장 견인”

그런 가운데 퀄컴은 향후 2년간 스냅드래곤 8 Gen 3 프로세서 등 생성형 AI 스마트폰 칩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디어텍은 자사의 ‘Dimensity 9300’ 기반 디바이스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것으로 전망되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생성형 AI 스마트폰 출하량 및 인사이트’ 보고서는 “특히 2024년은 생성AI 스마트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은 전망을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2027년까지 생성형 AI 스마트폰 출하량은 5억 2,200만 대에 달하며, 연평균 8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생성AI 스마트폰은 단순히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응답을 제공하거나 미리 정의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구분했다. 대신에 “생성AI를 사용하여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AI 스마트폰의 한 부분”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최적화된 AI 모델을 운영하며 특정 하드웨어 사양을 갖추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주요 제조업체들은 단기적으로는 ▲정보제공, ▲이미지 구축, ▲실시간 번역, ▲개인 비서 애플리케이션 등 4가지 주요 기능에 집중하는 설계에 치중할 것으로 보인다.

퀄컴 스냅드래곤 솔루션 기반 OS 하이퍼솔루션 이미지로 본문 가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출처=하이퍼클라우드)
퀄컴 스냅드래곤 솔루션 기반 OS 하이퍼솔루션 이미지로 본문 가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출처=하이퍼클라우드)

생성AI폰 ‘차별화’가 시장 경쟁력 좌우

그런 가운데 “삼성과 퀄컴은 이미 잘 갖추어진 제품 포트폴리오 및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처럼 삼성은 향후 2년 동안 생성AI 스마트폰 시장에서 거의 50%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 샤오미, 비보, 아너 및 오포와 같은 주요 중국 제조업체들이 그 뒤를 바짝 추격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앞서 자사 스마트폰에 ‘갤럭시 AI’를 활용한 사례를 이미 소개한 바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이에 “제조업체들이 곧 출시될 스마트폰을 차별화하기 위해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며 “생성AI는 이러한 차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퀄컴은 향후 2년간 생성AI 스마트폰 칩셋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되었다. 미디어텍 또한 자사의 모바일 칩셋 ‘Dimensity 9300’ 기반 디바이스로 퀄컴을 맹추격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일각에선 “스몰 아닌 빅코어만 8개를 ‘때려박은’ ‘Dimensity 9300’이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제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올 정도여서 귀추가 주목된다.

2026년경 생성AI가 스마트폰 완전 석권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 몇 년 동안 AI는 스마트폰의 한 기능으로 자리 잡았다”면서 “이제는 기존의 AI뿐만 아니라 생성AI 모델을 구동하는데 최적화된 스마트폰들이 등장하면서, 개인화된 콘텐츠 제작, 고유한 개성과 대화 스타일을 갖춘 스마트한 디지털 비서, 콘텐츠 추천 등의 사용 사례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장 변화의 배경을 짚었다.

다만 제약 조건도 지적했다. 즉 이를 위해서는 메모리 제약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더 이상 기기에 맞출 필요가 없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는 점이며, 생성AI가 그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이런 분석을 토대로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생성AI 스마트폰의 점

유율은 2024년까지는 한 자릿수에 머물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적절한 마케팅과 그에 따른 사람들의 관심도에 따라 시장은 더 성장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그러면서 “금년은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며, 2026년쯤 생성AI 스마트폰이 더 다양한 가격대에 보급되면서 변곡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