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등
주요 분야별 수요 높은 양질의 데이터, 지역 맞춤형 데이터 제공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4일 ‘데이터 안심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과기정통부장관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기술적·물리적·관리적 보안대책 등 지정 기준이 충족되었음이 인정되는 경우다. 이 구역에선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으며, 민감한 미개방데이터의 유출 우려를 해소하며 양질의 데이터 분석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K-ICT 빅데이터센터 6층에 데이터안심구역을 마련했다. 이곳을 통해 질병, 상권분석, 판매정보 등 양질의 데이터를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원하고 있는 △주요 분야별 빅데이터플랫폼, △다양한 AI학습용데이터를 제공하는 AI허브 등과 연계, 분석 수요가 있는 기업, 연구자 등이 보다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은 이미 지난 2022년 9월 서울센터가 데이터안심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번에는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가 추가로 지정되었다.
이번에 지정된 대전센터는 중부권의 데이터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대전시)를 비롯,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중부권병원협의체 등 연구·의료데이터 보유기관, 데이터 유관 협회와 협력한다. 또 충남대, 한밭대, 건양대, 을지대, DSC(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공유대학 등 지역 소재 교육기관과 연계, 지역의 데이터 인재양성 지원 인프라로 기능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ʻ과기정통부ʼ)에 따르면 그간 강원도,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전라북도·국민연금공단,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서울센터),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등 6개 기관(가나다순)을, 국토교통부는 한국국토정보공사를 데이터산업법에 따른 데이터안심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번에도 “데이터안심구역 신청이 접수된 기관에 대한 서류심사, 현장심사를 포함한 심사를 진행, 최종적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대전센터) 등 2개소 지정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