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서울 디지털 컨퍼런스서 강조
“국제적 합의된 규칙, 암호화폐 시장 위축 아닌 혁신 이끌 것” 주장
외신들 주목, 장세 불안정할 때마다 IMF주장, ‘국제적 규제 실현’ 관심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IMF 총재가 14일 또 다시 “암호화폐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규칙과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해 눈길을 끈다. IMF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국제적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특히 로이터통신은 이같은 게오르기에바 총재의 발언을 ‘테크 섹션’ 헤드라인으로 보도하며, 국제적 관심을 환기시켜 이채를 띠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날 서울을 방문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암호화폐가 금융안정에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에 규제가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IMF는 이전에도 암호화폐 시장이 심한 기복을 보일 때마다 이에 대한 국제적 규제책의 필요성을 제시한 바 있다.
최근 비트코인 폭등세 등 시장 상황 염두
최근 암호화폐 시장 역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솔라나 등이 폭등하는 등 투기심리를 자극하며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날 서울에서 열린 ‘디지털 화폐 관련 컨퍼런스’ 개회 연설에서 “암호화폐 채택률이 높아지면 거시 금융 안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 “높은 암호화폐 자산 선택이 통화 정책 전달의 효율성, 자본 흐름 관리 조치 및 불안정한 세금 징수로 인한 재정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게오리기에바 총재는 한국 정부 및 중앙은행과의 공동 컨퍼런스에서 “우리의 목표는 암호화폐의 일부 기술을 활용해 인프라와 암호화폐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상호 운용 가능하며 접근 가능한 금융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며 국제적으로 합의된 암호화폐 규제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녀는 또 “그런 규제책은 시장을 암호화폐 이전의 세계로 되돌리거나 혁신을 짓밟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면서 “좋은 규제책은 오히려 혁신을 촉진하고 이끌 수 있다.”고 밝혔다.
게오리기에바 통재는 디지털 화폐 채굴과 관련, “정책 입안자들이 그런 과정에도 참여하여 이를 더 잘 수행하도록 돕거나, 부작용을 배제할 수 있다”면서 특히 인도의 디지털 공공 인프라를 예로 들었다.
즉 “(인도와 같은) 신흥 시장으로부터 교훈을 얻음으로써 선진국들도 자신들의 화폐 정책에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