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격 해임’ 닷새만에 다시 오픈AI CEO로 복귀, 이사회와 극적 타결
직원들 대부분 “앨트먼 따라갈 것” 연판장, 오픈AI 해체 위기 처해
이사회 전면 개편, “인공지능에 대한 노선과 철학의 차이는 극복 과제”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샘 앨트먼이 오픈AI로부터 쫓겨났다가 다시 CEO 자리로 복귀했다. 이로써 실리콘 밸리는 물론, 세계 디지털산업계를 뒤흔들었던 드라마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 끝에 마무리되었다.
모든 외신들 일제히 속보로 타전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등 거의 모든 외신들은 22일 이를 일제히 속보로 전했다. 샘 알트먼 해임에 반대하며, 그의 복귀를 촉구한 오픈AI 직원들과 투자자들의 거센 항의와 요청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결국 지난 주 이사회에 의해 내려진 해임 결정이 무효화되고, 21일 밤늦게 오픈AI의 CEO로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으로 이사회는 앨트먼을 반대하며, 그의 해임을 이끌었던 인사들을 배제하고 다시 구성될 전망이다.
오픈AI는 이날 X에 올린 게시물에서 “샘이 브렛 테일러 (이사회) 의장과, 래리 서머스, 아담 단젤로로 구성된 새로운 이사회와 협의 끝에 오픈AI의 CEO로 복귀하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앨트만의 귀환과 이사회의 전면 개편으로 지난 닷새 간 이어졌던 ‘오픈AI’ 드라마는 일단락되었지만, 많은 숙제도 남겼다.
복귀 소식 직후 앨트먼은 X를 통해 “나는 오픈AI를 사랑하며 지난 며칠 동안 내가 한 모든 일은 이 팀과 팀의 임무를 하나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면서 “새 이사회와 (MS의 CEO) 사티야의 지원 덕분에 나는 다시 오픈AI로 돌아가서 MS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직원들과 투자자, 기술업계 등 이사회 비판, ‘복직’ 요구
앞서 오픈AI 이사회가 지난 금요일 오후 앨트먼 해임을 발표하자, 회사 직원들은 경악했다. 공동창업자인 사장 그레그 브로크먼도 항의 표시로 사임했다.
또 앨트먼의 업계 동료들이나 지인들, 그리고 오픈AI 직원들이 앨트먼을 전폭 지지하며 복귀를 요청하고 나섰다. 이들은 이사회에 거세게 항의하며, 그를 다시 데려오도록 요구했으나, 이틀이 지날 때까지도 이사회는 자신의 결정을 고수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그러나 불과 얼마 후 놀라운 반전의 계기가 일어났다. 앨트먼과 브로크먼이 오픈AI의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로 옮겨가서 새로운 ‘고급 인공 지능 연구소’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오픈AI의 700명 이상의 직원 거의 모두는 “앨트먼이 복직되지 않으면 회사를 떠나 마이크로소프트로 그를 따라가겠다”는 연판장에 서명했다. 만약 그렇게 되면 오픈AI는 사실상 문을 닫을 수 밖에 없게 되는 셈이다.
이와 함께 오픈AI의 핵심 브레인들이 줄줄이 사표를 냈다. 응용 연구 책임자인 보리스 파워(Boris Power)와 COO인 브래드 라이트캡(Brad Lightcap)을 포함해 많은 인재들이 회사를 떠났다. 그러면서 이들은 앨트먼이 X에 올린 “나는 openai 팀을 너무 사랑한다”는 글을 하트 이모티콘과 함께 인용했다.
“앨트먼 없는 오픈AI, 아무것도 아니다”
또 다른 직원들은 “OpenAI는 앨트먼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문구를 트윗하면서 옛 앨트먼이 이끌던 오픈AI 체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다이앤 윤 부사장,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 CEO 미라 무라티 등도 이에 합류했다. 심지어 그의 해임 결정에 앞장섰던 공동창업자 일리야 서츠케버까지도 함께 했다. 그는 직원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X에 올린 메시지를 통해 “이사회의 행동에 참여한 것을 깊이 후회한다”고 했다.
앨트먼이 전격 해임되었다가, 닷새만에 다시 전격적으로 복직하게 된 또 다른 원인은 마이크로소프트(MS)다. 앨트먼이 MS로 옮겨가면서 오픈AI는 사실상 해체 위기에 처한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이제 MS는 오픈AI와의 제휴관계에 더 이상 신경쓸 필요없이 초지능 AI(AGI) 개발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그 선두에 앨트먼이 있다. 반면에 오픈AI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게 되고, 최악의 경우 회사의 존망을 걱정해야 하는 형편이 된다. 그를 다시 복직 시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다만 이번 ‘오픈AI’ 사태를 부른 인공지능에 대한 ‘철학’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