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된 스마트폰 시장 돌파구로 주목, 삼성․애플․구글 등 경쟁
스마트폰에 생성AI 심어, “스마트폰으로 챗GPT 이상의 기능”

삼성 갤럭시S23. (사진=삼성전자)
삼성 갤럭시S23. (사진=삼성전자)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된 가운데, 그 돌파구로 생성AI를 접목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른바 ‘온디바이스AI’가 기존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할 전망이다. 미국의 스타트업 휴메인이 옷깃에 붙이는 스마트폰 ‘AI핀’을 개발한 것도 그런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로 들만하다.

실제로 삼성전자와 애플을 비롯해 스마트폰에 생성AI를 접목하는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들 글로벌 스마트폰 기업들은 생성형 AI를 스마트폰에 접목, 크게 차별화된 기능을 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음성만으로 이메일이나 번역, 문서작업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전혀 다른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온디바이스 AI’는 기기 자체에 AI 기능을 심는(임베디드) 것이다. 챗GPT 등 기존 생성형 AI와 달리 외부 클라우드가 아닌, 자체에 임베디드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처리가 더욱 빠르고 보안 기능도 뛰어나다.

이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기업은 삼성전자와 애플 등 양대 스마트폰 기업이다.

삼성, 2024년 ‘갤럭시 S24’에 생성형 AI 탑재

삼성전자는 대형 서버를 이용한 복잡한 연산이 어려운 ‘온디바이스AI’의 한계를 기기 간의 네트워크로 해결하는 방식을 시도하는 등 실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2024년 공개하는 ‘갤럭시 S24’를 생성형 AI를 탑재한 ‘온디바이스 AI’ 형태로 출시할 것이란 얘기도 있다. 이는 ‘온디바이스 AI’에 서버 기반의 클라우드 AI를 접목한 ‘하이브리드 AI’를 탑재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도, 습관 등을 학습해 맞춤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AI’를 탑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활용하는 앱과 생활 패턴 등을 분석, 이에 맞는 출력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삼성시스템LSI 테크데이 2023’ 등 삼성전자의 움직임을 종합해보면, 특히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하는 갤럭시 스마트폰에 실시간 통역 통화인 ‘AI 라이브 통역 콜(AI Live Translate Call)’ 기능을 탑재할 계획도 있어보인다. 즉, 갤럭시 생성형 AI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통화 중 ‘모국어’로 말하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통역해주는 기능이다.

애플 아이폰15. (사진=애플)
애플 아이폰15. (사진=애플)

애플, ‘애플GPT’ 개발, ‘iOS 18’에 탑재

애플도 이에 질세라, 차세대 OS인 ‘iOS 18’에 생성형 AI를 탑재할 계획이다. 자체적으로 LLM을 개발, 훈련시키는 등 내년에는 생성형 AI를 아이폰에 탑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익 있다.

블룸버그, CNBC 등에 따르면 애플은 LLM ‘에이잭스(Ajax)’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대화형 챗봇인 ‘애플GPT’를 개발했다. 이미 애플 직원들은 이를 업무에 활용하며 테스트하고 있다.

에이잭스는 구글 기계학습 프레임워크인 잭스(Jax)를 토대로 만들어졌으며 구글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애플GPT’는 애플의 2024년 공개할 아이폰의 새 운영체제 ‘iOS 18’에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또 기존의 AI 음성 비서 ‘시리’와 ‘메시지(Messages)’, ‘애플 뮤직(Apple Music)’에도 생성형 AI를 접목할 계획이다. 이는 사용자의 질문에 좀더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또한 이를 자체 오피스 앱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서와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고, 개발자의 모바일 앱 개발을 보조할 수 있다.

삼성전자·애플 등 뿐 아니다. 구글 등 후발주자들도 생성형 AI를 적용한 최신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구글 픽셀. (사진=구글)
구글 픽셀. (사진=구글)

구글, 생성AI 접목한 픽셀8 발표

구글의 경우 지난 10월 열린 ‘메이드 바이 구글’에서 생성형 AI를 탑재한 신제품 ‘픽셀 8(Pixel 8)’을 발표했다. 픽셀 8에는 자체 개발한 AP 텐서 G3칩이 탑재되었으며 AI 및 머신러닝 처리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구글은 또 자사의 AI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와 대화형 AI ‘바드’를 결합한 ‘어시스턴트 위드 바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는 사진 속 피사체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할 수 있고 사람의 표정도 바꿀 수 있다.

또 지메일, 구글 독스(문서작성) 등 각종 구글 앱과도 연동해 검색, 요약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야말로 추론과 생성 능력이 더해진 ‘비서’로서 부족함이 없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