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신호, 설문 기반 ‘멘탈헬스 AI 모델 생성 기술 눈길
전자통신연구원 개발, 생체신호 기반 멘탈헬스 측정, ‘맞춤형 솔루션’ 제공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현대인, 특히 직장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멘탈헬스 AI 모델 생성 기술’이 새삼 눈길을 끈다. 평소 스트레스가 심한 직장인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 손쉽게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인 셈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민간에게 이전하기 위해 개발한 해당 솔루션은 생체신호 및 설문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와 함께 멘탈 헬스 관리 및 멘탈웰빙 지원 기술, 설문기반 조직 스트레스 모니터링 기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스 요인 분석, 피드백과 모니터링
연구원에 따르면 이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인화된 피드백이 가능한 시각화 기술을 이용, 근로자가 자신의 멘탈헬스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직장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웰빙 솔루션 컨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에 적합한 웰빙솔루션도 추천할 수 있다. 연구원은 이를 통해 “직장인들의 실생활 근무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기에 알맞고, 개인의 멘탈 헬스 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면서 “웰빙솔루션 전과 후의 멘탈헬스 점수를 제공하여 효과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밝혔다.
또한 “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하여 건강관리 증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직원 정신 건강을 상담해주는 EAP(근로자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고 있다.
멘탈 헬스 관리 위한 정교한 기술 개발
이를 위해 민간에게 이전될 내용은 매우 정교하고도 다채롭다.
대표적으론 △생체신호 및 설문 기반 멘탈헬스 AI 모델 생성 기술, △생체신호(PPG) 기반 멘탈헬스 측정 및 AI 모델 생성 기능, △설문지 기반 멘탈헬스 측정 및 AI 모델 생성 기능 등이다.
이를 위해 매우 역시 세부적인 ‘멘탈 헬스 관리 및 멘탈웰빙 지원 기술’도 제공한다.
회원가입/로그인/기본정보/버전표시 기능을 비롯해 △일정 정보 저장 및 표출 기능 △일간(Day) 스트레스 측정 및 저장 기능 △월간 스트레스 측정 및 저장 기능 △번아웃/직무만족 설문 표출 및 저장 기능 △응원문구/장치연결/스트레스버튼클릭 저장 및 표출 기능 등이다.
또한 사용자가 그 효과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도 들어있다. 즉 △선호하는 완화솔루션 저장과 제공(솔루션 컨텐츠 포함) △생체신호 분석 결과 조회 기능 △설문 분석 결과 조회, △완화 솔루션 분석 결과 조회 △조직 구성원 스트레스 상태 확인 기능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함께 설문기반 조직 스트레스 모니터링 기술도 유사한 내용의 기능을 제공한다.
AI 기반 이(異)기종 센싱 정보 분석 동원
연구원은 “직장 근로자의 웰빙 및 성과 향상을 위하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체데이터와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멘탈 헬스 정보를 분석하고 직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멘탈 웰빙 솔루션을 제공하고 멘탈 헬스 상태를 관리하는 기술”이라고 요약했다.
특히 “직장 사업자나 국가 역시 근로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여 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므로 직장에서의 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 위험을 완화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취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직장에서 지식 근로자의 멘탈 헬스, 예를 들어 직장 스트레스나 번아웃 등을 감지하고 이를 완화하는 솔루션, 즉 AI기반 이(異)기종 센싱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멘탈 헬스를 측정하고, ‘맞춤형 멘탈 웰빙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