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디지털전환의 ‘시작과 끝’을 책임진다”
[애플경제 박문석 기자] ‘메타버스 엑스포 2023’은 지난 1년 여 동안 침체 국면을 보였던 메타버스 산업이 스마트건설이나 스마트팩토리 분야를 통해 나름대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행사였다.
특히 제조업의 디지털트윈에 메타버스와 3D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기술을 선보인 업체가 다수 참가했다.
그 중 한 곳인 ㈜이안의 성정민 상무이사는 “3D데이터를 활용한 도면 관리 기술을 바탕으로 건설, 플랜트, 하이테크 산업의 가상설계와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제공하는 전문기업”이라고 자사를 소개했다.
이 회사는 메타버스와 3ㅇ모델링 기술을 적용한 산업용 디지털트윈 협업 플랫폼인 ‘DTDesigner’ 시스템과, 스마트팩토리용 SW인 ‘O-마스터’, ‘P-마스터’, ‘C-마스터’ 등의 시스템을 함께 출시, 눈길을 끌었다.
성 상무는 “이처럼 끊임없는 R&D를 통해 디지털 운영환경을 구축하고 있다”면서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BIM 기반 분석, 3D모델링, 증강, 가상, 혼합, 확장 현실 기술 등을 집약하고, 디지털트윈 플랫폼과 현장의 다양한 요구에 최적화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 상무는 “이번 ‘메타버스 엑스포 2023’에서 산업용 디지털트윈 협업 솔루션, 특히 스마트건설 등에 최적화된 메타버스 기반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면서 기술과 제품 라인업을 소개했다.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트윈 플랫폼 제품군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 세계의 데이터를 가상세계에 동기화하고, 데이터 모델링과 강력한 분석을 병행하면서, 통찰력과 진단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죠”
그는 대표적으로 ‘DTDesigner’를 꼽았다. 이는 “디지털 트윈 기반 산업 시설물의 3D설계에서부터 시공, 생산, 운영단계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애주기를 구축한 것”이라며 “설계 데이터를 경량화,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함으로써 현장과 업무를 연결해준다”고 했다.
성 상무는 또 “‘DTDesigner’는 모델 편집과 적용, 그리고 배관 흐름의 경로를 추적하고, 속도나 거리 스케일을 조정하며, 시설 내 위치 이동 맵을 작성한다”면서 “화면을 캡처하거나 모를 작성하고, 영역과 액티비티 별 시공현황을 컬러링하며, 시공상태별로 시각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3D PDF제작 툴인 오마스터(O-MASTER)도 “차별화된 기술의 결과”라고 했다.
그에 따르면 이는 3D모델과 2D도면, 속성정보, 문서 등 다양한 포맷으로 생성된 파일들을 하나의 3D PDF로 통합, 퍼스널, 엔터프라이즈 용으로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페이지 레이아웃을 제작하고, 3D모델을 편집할 수 있다.”고 강조한 성 상무는 “ 또 객체를 클릭하면 3D뷰를 확인할 수 있고, 세부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지나 웹 이동 등 다양한 기능도 있다.”고 나름의 장점을 나열했다.
레빗 변경점 관리시스템인 시마스터(C-MASTER)도 부각시켰다. 이는 “각 프로젝트별로 레빗 파일 리비전(Revision) 단위로 분석, 변경점을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시각화한 자료와 보고서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라고 했다.
또한 성 상무는 “레빗 설계 변경 관리에 최적화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강조하며, “이는 기존 설계 변경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업자의 간편한 설계 변경 내역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하이테크 산업 2차 가상설계를 위한 P-마스터(P-MASTER)도 출시했다”고 전했다. 이는 2차 배관 혹업(Hook-Up) 설계를 위해 개발된 3D배관 설계 솔루션이다. 즉 “복잡한 산업 현장의 설계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레거시 시스템과 연계,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플랫폼과 기술에 대해 성 상무는 “산업 디지털 전환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했다.
그런 노력은 또한 “제조업의 디지털트윈을 구현하고, 고객의 경험과 함께 비즈니스 혁신을 기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신기술 개발과 성실한 프로젝트 수행으로 최첨단 디지털트윈을 선도하고,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나름의 비전을 강조했다.
